메뉴바로가기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미국서 조용히 확산하는 조류인플루엔자…사람 포유류 감염 걱정 점점 커진다

통합검색

미국서 조용히 확산하는 조류인플루엔자…사람 포유류 감염 걱정 점점 커진다

2022.06.27 07:00
오리를 잡아먹고 있는 검은등갈매기. 지난 겨울 유럽에서 캐나다 동부로 날아온 검은등갈매기는 미국에서 확산 중인 조류 인플루엔자(AI)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오리를 잡아먹고 있는 검은등갈매기. 지난 겨울 유럽에서 캐나다 동부로 날아온 검은등갈매기는 미국에서 확산 중인 조류 인플루엔자(AI)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미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AI)가 확산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6월까지 AI로 목숨을 잃은 야생조류만 100개 종 38만 3000마리로 추정된다. 닭과 오리 등 가금류까지 합칠 경우 그 수는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다. 이번 AI는 지난 겨울 유럽에서 캐나다 동부로 날아온 검은등갈매기가 확산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점점 더 많은 종류의 조류가 감염에 노출되면서 확산 양상이 복잡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람과 포유류 감염이 우려되면서 이번 AI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조류 인플루엔자 유행 규모 거침없이 커져

23일 미국 농무부(USDA)의 AI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는 텍사스와 조지아, 위스콘신, 미네소타, 아이오와 등 36개 주에서 조류 AI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총 372개 조류 무리에서 AI 감염이 확인됐으며 전체 조류 수로 볼 때 약 4009만 마리가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AI는 닭·오리·철새 등 조류가 'H5N1' 바이러스에 감염돼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공기를 통해 전파되고 호흡기로 감염되며 사람에게도 드물게 감염된다.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와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LPAI)로 종류가 나뉘는데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것은 HPAI다. 빠른 전파 속도로 조류에 큰 피해를 준다. 국내에서도 2003년 첫 발생한 이후 유행 때마다 수백~수천만 마리의 닭들이 살처분되고 있다. 한때 HPAI를 ‘가금페스트’로 불렀던 이유다. 

 

이런 위협은 닭이나 칠면조 등 특정 조류에 한정된다. 닭이나 칠면조에는 치사율이 100%에 가까워 24시간 안에 폐사하지만 오리나 야생조류엔 경미한 증상만 야기한다. 개발된 백신이나 치료제는 없다. HPAI 대처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조류 살처분을 택하는 이유다. 


하지만 최근 AI는 살처분만으로 대응할 수 없을 정도로 HPAI의 유행 규모가 점점 커지는 모양새다. HPAI는 1996년 중국의 거위에서 처음 발견됐는데 이후 전 세계의 숙주를 거치며 진화했다. 2005년 10년의 진화 끝에 중국에서 대규모 발병을 일으켰고 2014년에는 북미에 처음 등장했다. 이제는 미국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전염병이 됐고 국내를 포함해 전 세계에서 1~3년을 주기로 발생하고 있다. 

 

○ 고병원성 급격한 확산....인간과 포유류까지 위협

과학자들은 고병원성 바이러스에 감염된 숙주가 늘면서 감염 양상이 복잡해지고 빈도도 늘며 감염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하면서 유행 규모가 커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니콜라 힐 미국 메사추세츠대 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야생조류들이 고병원성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사례가 늘면서 확산세가 가팔라지고 있다”고 국제학술지 ‘플로스 전염병’에 지난달 19일 공개했다.

 

이번 북미 확산의 원인으로 지목된 검은등갈매기는 고병원성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 확인됐는데 이전까지 한 번도 이런 일이 없었다. 검은등갈매기는 날개 폭이 2.5m에 이르는데 하루 만에 대서양을 횡단하는 이동능력을 가졌다. 그만큼 바이러스가 쉽게 전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감염 사례까지 늘고 있다. 미국 위스콘신주 천연자원부는 지난달 31일 붉은 여우 개체군에서 HPAI 양성 반응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위스콘신 외에 미네소타와 아이오와, 미시간,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서도 감염된 여우가 확인됐다. 아마도 감염된 조류를 먹은 후 전염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토끼나 스컹크 같이 조류를 먹는 다른 종에서도 감염 사례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 AI 감시 체계 정비해야 할때

지난 4월 28일에는 조류와 접촉한 후 HPAI에 감염된 사람 사례가 미국에서 보고됐다. 이 사례를 포함해 2003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880건의 인간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는 “HPAI에 감염된 조류의 타액이나 점액, 대변은 바이러스를 퍼뜨린다”며 “사람 사이 감염은 드물지만 충분한 양의 바이러스가 사람의 눈이나 코, 입에 들어가면 인간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조류의 행동양식에 대한 연구에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고 감시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행동양식을 파악해 고병원성 바이러스 감염과 확산을 선제적으로 파악해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야생조류의 경우 이론적으로 144종의 AI 바이러스가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야생조류의 평균 10%가 이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힐 교수는 “HPAI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확산을 막기 위해 야생조류의 행동양식을 연구하고 관련 감시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이 기사가 괜찮으셨나요? 메일로 더 많은 기사를 받아보세요!

댓글 0

###
    과학기술과 관련된 분야에서 소개할 만한 재미있는 이야기, 고발 소재 등이 있으면 주저하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