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RP3 인플라마좀 소분자 억제제의 알츠하이머병 모델에서의 인지 장애 회복 기능 연구에 대한 설명. 연구팀은 인공지능 및 분자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염증 반응 활성화를 담당하는 인플라마좀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NLRP3 제어 화합물을 발굴해냈다.

[한국대학신문 이원지 기자] 아주대학교(총장 최기주)는 최상돈 생명과학과 교수(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가 인공지능, 분자역학 시뮬레이션으로 수천만 개의 화합물 중 알츠하이머병 치료 기능이 있는 화합물을 발굴했다고 3일 전했다.

연구에는 아주대의 김욱·김문석 교수와 ㈜에스앤케이테라퓨틱스, 환인제약㈜ 공동 연구팀이 참여했다. ㈜에스앤케이테라퓨틱스는 최상돈 교수가 설립한 희귀 면역 질환 치료제 개발사다.

관련 내용은 ‘NLRP3 인플라마좀 새로운 소분자 억제제의 알츠하이머병 모델에서의 인지 장애 회복(Novel Small-Molecule Inhibitor of NLRP3 Inflammasome Reverses Cognitive Impairment in an Alzheimer’s Disease Model)’이라는 논문으로 미국화학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가 발행하는 저널 <ACS 케미컬 뉴로사이언스(ACS Chemical Neuroscience)> 2월 23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염증 반응의 활성화를 담당하는 선천성 면역계의 세포질 다단백질 올리고머 인플라마좀(inflammasome)을 주목했다. 인플라마좀 활성화 조절에 장애가 있는 경우 자가면역질환, 대사·신경 퇴행성 질환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 분자역학 시뮬레이션으로 인플라마좀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NLRP3(NACHT, LRR and PYD domains-containing protein 3) 제어 화합물을 발굴해냈다. 이를 퇴행성 신경질환의 대표 사례인 아밀로이드 β 유발 알츠하이머병 동물에 적용해 그 치료 효과를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NLRP3 인플라마좀의 비정상적 활성화는 치매와 비알콜성 지방간염, 제2당뇨, 다발성경화증, 통풍 등 난치성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상돈 교수는 “이번 연구로발굴된 기전을 우선 알츠하이머병에 적용해 그 효과를 입증해 냈다”며 “알츠하이머병과 질환 발생 기전이 유사한 비알콜성 지방간염, 제2당뇨, 다발성경화증, 통풍 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