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산업·과학기술·금융 선순환 필요한데…'인내자본' 없는 현실이 문제"

"한국에 제조업 경험 전문가는 많지만, 한국 금융계에는 없어"
"금융이 과학기술을 알지 못하니 관련 일 못해"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2021-08-24 18:37 송고
이정동 서울대학교 교수가 24일 국민경제자문회의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기조발제를 하고 있다.(국민경제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공) 2021.08.24 /뉴스1
이정동 서울대학교 교수가 24일 국민경제자문회의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기조발제를 하고 있다.(국민경제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공) 2021.08.24 /뉴스1

추격형 과학기술에서 선도형 혁신 체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산·학·연 연계뿐 아니라 금융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국민경제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4일 '과학기술·금융-혁신의 선순환과 선도국가로의 도약' 심포지엄을 공동개최했다.

과학기술에 기반한 한국경제 혁신체제의 발전방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된 이번 토론회에는 이정동 서울대학교 교수가 기조 발제를, 정승일 한국교원대학교 교수와 손수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주제 발표를 맡았다.

이정동 교수는 "새로운 아이디어, 도전적 문제를 규정하고 기술 아이디어가 개발되더라도 현실에 쓰이기 위해서는 스케일업이 돼야한다. 단계별로 응용 분야에 적용되면서 (기술이) 완성돼야하는데 돈(자본)의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기술 개발이 제품으로 이어지고 확산되는 지난한 과정 동안, 살아남기 위한 적절한 자본지원·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교수는 "첫 번째 중요한 것이 공공조달이다. 정부의 구매가 혁신 제품들이 테스트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주머니로 작용해야 한다"며 "산업은행, 기업은행, 기술보증기금 같은 정책 금융기관들도 적극 역할을 해야한다. 단기적 금융 시각을 극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제도 측면에서는 스톡옵션을 포함해, 민간이 스케일업을 하는 과정에 자금과 사람이 흘러 들어갈 수 있게 바로 잡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정승일 한국교원대학교 교수가 24일 국민경제자문회의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국민경제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공) 2021.08.24 /뉴스1
정승일 한국교원대학교 교수가 24일 국민경제자문회의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국민경제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공) 2021.08.24 /뉴스1

정승일 교수는 '인내자본'이 형성되지 않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짚었다. 인내자본은 산업과 기업이 경험과 능력, 지식과 자본 등을 축적할 수 있도록 기다려줄 수 있는 자본을 말한다.

정 교수는 "한국은 서구에 대비해 불확실성도 높고 실패 가능성도 높고, 시간이 오래 걸릴 가능성이 높다"며 "이를 참아주는 자본이 필요하다. 기업 차원, 금융 투자에서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금융계의 '단기주의'를 지적하며 산업 전문성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한국은 세계 5위의 제조업 경제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 제조업 경험 많은 인재가 풍부하지만, 금융계에 제조업 경력자들이 없다"며 "반면에 부동산 프로젝트는 열심히 하기 때문에 (부동산 관련) 경력자와 조직은 많다. 당연히 금융이 과학기술을 알지 못하다 보니 그와 관련된 일을 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융에서 판단의 근거가 되는 정보를 경성 정보와 연성 정보로 나누어 보고, 연성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경성정보가 재무제표와 담보와 같이 정형적 정보라면, 연성 정보는 기술력과 리더십, 미래 가능성과 같이 미래형이고 비정형적 정보다.

정 교수는 "연성 정보를 바탕으로 금융을 하면 (전문가 고용 등) 단기 비용이 상승하나, 산업 기술 금융에서의 리스크가 감소해 장기적 주주가치가 증가한다"며 "산업생태계 관련 연성정보는 공공재의 문제다. 정부가 일정 정도 정보 생산에 도움이 돼야한다. 산학연관련 부처들, 금융정책부처, 국책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정부를 비롯한 공공이 산업계의 현황이나 조망 자료 등의 연성 정보를 생산해, 산업 금융의 역량을 키우고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손수정 선임연구원은 '과학기술의 경제 사회적 가치창출: 기술사업화' 발표를 통해 △시장 창출·적용 중심의 R&D 전환 △사업화 관련 공공조직의 연결을 통한 민간 활동지원 강화 등 시장 중심의 연구·개발(R&D) 생태계로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근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혁신성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산업계, 금융계와 과학기술계가 머리를 맞대어 3자 간에 선순환 구조를 가져오게 할 국가 혁신시스템에 대한 개혁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30조에 가까워지고 있는 정부 R&D의 효과와 역할, 혁신에의 기여도에 대한 논의와 정책들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과학기술이라는 서말의 구슬을 잘 꿰어 보물이 되도록 하고, 이 보물이 국가와 인류가 당면한 도전을 해결하는 소중한 도구가 되도록 하는 지혜로 발전하길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다.


seungjun241@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