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4:55 (금)
미-중 바이오·의약 산업 패권 경쟁, 우리에게는 기회 되나?
미-중 바이오·의약 산업 패권 경쟁, 우리에게는 기회 되나?
  • 김수진 기자
  • 승인 2021.04.15 22: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국가의 전폭적 지원 아래 세계 바이오시장에서 존재감 커져
미국의 견제로 아시아로 눈 돌린 중국, 기회 살리려면 ‘기술 보호’ 필요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바이오타임즈] 중국의 파워가 바이오·의약 산업 분야에서도 거세지고 있다. 후발 주자이지만 거대한 내수 시장과 파격적인 정책으로 세계 2위의 의약품 시장으로 성장하여 미국의 1위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자본력을 바탕으로 기술도입을 적극 추진하여 신약 후보물질 확보 중인 중국과 이를 저지하려는 미국의 패권 경쟁 속에서 다국적 제약사들의 움직임은 어떠할까. 그리고 우리 기업들의 중국 진출은 어떻게 전망해야 할까.

한국바이오협회는 ‘미-중 바이오의약산업 패권 경쟁 속 우리의 기회’라는 보고서를 발표, 바이오·의약 산업에까지 확장한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 속에서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에는 어떤 기회가 있을지 분석했다.

◇ 중국, ‘패스트팔로우’ 정책으로 글로벌 First-in Class와의 기술 격차 빠르게 줄여

중국은 ‘2025 프로젝트’를 통해 바이오·의약 분야를 10대 육성 분야로 지정하고 국제시장에 진입한다는 목표로 정책을 추진 중이다.

2020년까지 바이오 R&D 예산과 기업의 의약품 품질 표준·체계를 국제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2025년부터는 의약품 관련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데 참여하는 것이 목표다. 또한, 2020년 이후 중국의 제약사 100곳이 미국·유럽·일본에서 인증을 취득하고, 이들 나라에 대한 상품 수출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는 30~35개의 혁신 신약을 만들어내고, 이 가운데 10~15개는 FDA와 EMA의 인증을 획득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아가겠다는 방향을 수립했다.

중국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혁신 전략으로 △패스트팔로우 △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및 다국적제약회사 유치 △위탁개발생산기업(CDMO) 육성 전략을 수립했다.
 

(사진=한국바이오협회)
(사진=한국바이오협회)

특히 중국은 ‘패스트팔로우’ 전략으로 글로벌 격차를 줄여나가겠다는 계획에 따라 10년 뒤 병용요법과 적응증 확장, 이후 10년은 새로운 작용기전과 모달리티(Modality) 확장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이를 위해 효능과 안전성이 검증된 의약품을 중심으로 me-too와 me-better 의약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항암 분야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인 PD-1/PD-L1 항체의약품에 대하여 더 나은 me-better 항체의약품을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상업화된 제품이 4개에 불과한 CAR-T 치료제(노바티스社 킴리아, 길리어드社 예스카타 및 테카르투스, BMS社 브레얀지)에 있어서도 중국의 CAR-T 임상시험 수는 2017년 6월 이후 미국을 추월했다.

그 결과, 글로벌 FIC(First-in Class)와의 기술 격차를 빠르게 줄이는 효과를 창출했다.

중국 바이오기업의 해외기술 도입 사례(사진=한국바이오협회)
중국 바이오기업의 해외기술 도입 사례(사진=한국바이오협회)

◇ 국가의 전폭적 지원 아래 급성장하는 중국 바이오·의약품 시장

중국의 바이오산업 최근 성과 및 동향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해외 바이오 기업과 중국 바이오 기업 간 협력 급증이다. 2015년 56건(32억 달러)에서 2019년 93건(106억 달러)으로 증가했으며, 2019년 기준 글로벌 임상의 약 24%(중국: 3,898, 이외 국가 12,140개)가 중국에서 진행하는 등 R&D 투자의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했다.

또 항체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급격한 성장으로 중국 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도 커졌다. 중국 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2019년 기준 약 480억 달러 규모에서 2023년 1,1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5.0%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 파이프라인의 활발한 도입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다. 해외기술 도입의 경우 중국은 2015년 66건에서 2019년 184건을 실시하여 4년 사이 3배 증가했다. 신약 후보를 선점하고 자국 내 임상역량과 생산역량을 바탕으로 빠르게 중국 신약을 확보하겠다는 국가적 전략으로 풀이된다.

최근에는 항암제 기술 분야의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한 항체의약품과 이중항체, 항체 약물 접합(ADC) 등 항체 기반 모달리티에 관심도가 높은 편인데, 중국이 특정 바이오마커 조합의 이중항체 파이프라인 수와 임상개발 속도는 미국보다 앞선 것으로 분석되어 이 분야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한다.
 

중국의 아웃바운드 거래 현황 및 미국에 대한 투자 현황(사진=한국바이오협회)
중국의 아웃바운드 거래 현황 및 미국에 대한 투자 현황(사진=한국바이오협회)

◇ 미국, 자국의 바이오기술 보호를 위해 중국 투자 심사 강화

세계적인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가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표한 생명과학 분야 상위권 국가를 보면 미국이 1위, 중국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14위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생명과학 분야 가장 빠른 연구성과 상승률을 보인 국가를 보면 중국이 1위를 차지한 반면, 미국은 10위 권에 들지 못했다. 아울러 생명과학 분야 가장 빠른 연구성과 상승률을 보인 연구기관 역시 상위 10위권에 중국의 8개 기관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더해 미국 바이오 기업의 역량 있는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중국의 움직임은 더 활발해지고 있다.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기술을 다수 도입하고 있는 것을 넘어 적극적으로 미국 바이오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생명과학 분야 네이처 인덱스 2020(사진=한국바이오협회)
생명과학 분야 네이처 인덱스 2020(사진=한국바이오협회)

상황이 이렇다 보니 미국도 견제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미국은 국가안보를 이유로 외국인 투자자가 미국 시장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법률인 FIRMA(Foreign Investment Risk Review Modernization Act)을 2018년도에 발효했다. 미국은 중국이 바이오기술을 빼가는 것을 우려하여 미국 내 투자를 감시하는 투자심사위원회(CFIUS, Committee on Foreign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의 감시 대상 기술 항목에 바이오기술(유전체 정보 등)을 추가했다. 그 결과, 중국의 미국 바이오기업에 대한 지분투자 규모가 FIRMA 발효 이후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 미국에 막힌 중국, 우리에게는 오히려 기회로 작용...기술보호 프로그램 필요

이처럼 미국 바이오기업에 대한 중국의 지분 투자가 줄고 기술거래도 위축될 가능성이 있어 중국은 줄어든 거래 비중만큼 다른 국가에서 기술을 도입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중국의 아웃바운드 거래 2순위는 아시아 지역(인도, 일본, 한국, 동남아 등)으로, 그 중에서도 지리적 위치나 기술 성숙도를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와 일본이 거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중국이 우리 바이오기업의 기술을 도입해가는 사례가 확인되고 있는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총 11건의 중국 기술수출 건 중 7건이 항암 분야였으며, 전체 거래 금액 중 70%를 차지한 것으로 확인된다.
 

한국바이오기업의 중국 기술 수출 현황(사진=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기업의 중국 기술 수출 현황(사진=한국바이오협회)

보고서는 최근 3건의 중국 기업과의 대형 기술거래 모두 항암 분야라는 것과 항체 기반 모달리티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항암 분야와 항체의약품 분야의 관심도가 높기 때문에 ADC, 이중항체 등 항체의약품 분야 후보물질을 가진 국내기업과 CAR-T 등 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국내 기업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다만, 대중(對中) 기술수출 방향성 중 고려해야 할 요소로 사업개발 파트너 측면에서 중국을 ‘위드 차이나(with China)’로서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중국과 국내 기업 간 바이오기술 거래 규모를 보면 중국이 기술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해 가격을 할인하거나 기술 검토가 불가능한 수준이 아니며 기술적인 면에서 우리보다 앞서고 있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 차원에서 기술이전 보호 프로그램 마련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우리 기업과 중국 기업 간 기술거래 건수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이 우려하는 바와 같이 우리도 어느 정도는 우리 기업이 안전하게 바이오의약품 기술거래를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바이오타임즈=김수진 기자] sjkimcap@biotime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