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 침투 관문 문턱 확 높일 새 표적 찾았다

통합검색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 침투 관문 문턱 확 높일 새 표적 찾았다

2020.09.16 12:57
세포 표면 헤파란황산염 역할 규명...바이러스 침투 가능성 90% 떨어져 치료제 개발 기대
인체 세포 표면에 있는 다당류 분자인 헤파란황산염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세포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널리 쓰이는 혈액 항응고제와 비슷한 구조의 물질로, 이 물질을 투입하는 세포실험에서 바이러스 침투를 최대 90% 줄이는 효과도 확인했다. 캘리포니아대 제공
인체 세포 표면에 있는 다당류 분자인 헤파란황산염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세포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널리 쓰이는 혈액 항응고제와 비슷한 구조의 물질로, 이 물질을 투입하는 세포실험에서 바이러스 침투를 최대 90% 줄이는 효과도 확인했다. 캘리포니아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하는 과정에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새로운 인체 세포 표면 분자가 발견됐다. 이 분자를 제거하거나 바이러스와 결합하지 못하게 막으면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를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널리 쓰이는 혈액 항응고제가 이 분자와 바이러스의 결합을 효율적으로 막는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새로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프리 에스코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의대 교수팀은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인체세포에 감염될 때 세포 표면의 ‘헤파란황산염(헤파란 설페이트)’라는 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과정을 막으면 감염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셀’ 15일자에 발표했다.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인체세포에 감염될 때 자신이 가진 돌기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로 인체세포 표면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라는 단백질을 인식해 붙잡으면서 침투를 시작한다. 비유하면 바이러스의 손(스파이크 단백질)으로 문고리(ACE2)를 잡아 여는 것과 비슷하다. 이 과정이 바이러스 침투와 증식의 첫 단계라 많은 치료제와 백신 후보물질이 이 과정을 표적으로 삼아 개발되고 있다. 한때 코로나19 재창출 치료제 후보물질로 연구되던 인플루엔자 치료제 아비돌이 대표적이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와 결합하는 과정을 좀더 자세히 연구했다. 그 결과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와 혼자 결합하지 못하고, 인체세포 표면에 돋아나 있는 길다란 당 분자인 헤파란황산염의 도움이 필수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인플루엔자나 헤르페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등 많은 바이러스가 세포 표면의 당 분자와 결합하도록 진화했다”며 헤라판황산염도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대표적 표면 당 분자로 코로나19와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헤파란황산염은 당 분자가 진주목걸이처럼 길게 이어진 사슬 모양 분자로 인체 모든 조직에서 발견되며 폐 세포에서도 발견된다. 혈액응고를 방지하는 약으로 쓰이는 헤파린과 구조가 비슷하다. 

 

연구팀의 연구 성과 중 일부다. 헤파란황산염을 제거하는 효소(HSase)를 다양한 세포에 투입한 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의 결합 정도를 비교했다. a는 스파이크 단백질과 폐포 세포(H1299) ACE2의 결합 정도를 농도에 따라 비교한 것으로 농도가 늘어도 HSase를 투입한 세포의 결합은 낮게 유지됐다. b는 폐포 세포 두 종과 간암세포(Hep3B에서의 실험 결과를 비교했다. 대부분 결합이 80~90% 줄어들었다. c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ACE2 결합부위(RBD)와의 결합 비교로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 d는 폐포 세포와 흑색종 피부세포와의 비교다.
연구팀의 연구 성과 중 일부다. 헤파란황산염을 제거하는 효소(HSase)를 다양한 세포에 투입한 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의 결합 정도를 비교했다. a는 스파이크 단백질과 폐포 세포(H1299) ACE2의 결합 정도를 농도에 따라 비교한 것으로 농도가 늘어도 HSase를 투입한 세포의 결합은 낮게 유지됐다. b는 폐포 세포 두 종과 간암세포(Hep3B에서의 실험 결과를 비교했다. 대부분 결합이 80~90% 줄어들었다. c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ACE2 결합부위(RBD)와의 결합 비교로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 d는 폐포 세포와 흑색종 피부세포와의 비교다.

연구팀은 폐포에서 채취한 세포 두 종과 흑색종 피부세포 한 종, 간암세포 한 종을 준비한 뒤, 헤파란황산염을 제거하는 효소를 투입하고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감염시켰다. 그 결과 스파이크 단백질과 ACE2의 결합이 80~90%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바이러스 침투 가능성이 10분의 1 수준으로 낮아진다는 뜻이다. 헤파란황산염을 만드는 효소를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 제거해도 비슷했다. 또 세포에 헤파린을 넣은 결과 스파이크 단백질이 헤파린과 결합하는 대신 헤파란설파이트와 결합하지 않으면서 역시 최대 90%까지 결합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헤파란황산염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새로운 치료제 표적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헤파린 등 헤파란황산염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저해제를 약물재창출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로 바꿀 가능성도 제시했다. 에스코 교수는 “다만 동물실험부터 새롭게 진행해야 하는 만큼 헤파린이나 비슷한 저해제를 치료제로 활용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이 기사가 괜찮으셨나요? 메일로 더 많은 기사를 받아보세요!

댓글 0

###
    과학기술과 관련된 분야에서 소개할 만한 재미있는 이야기, 고발 소재 등이 있으면 주저하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