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플

체내 구리의 이동,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열쇠

박세용 / 기사승인 : 2020-06-08 07:28:11
  • -
  • +
  • 인쇄
▲ 구리 대사 이상이 신경퇴행성 질환과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유토이미지)

체내 구리 조절에 문제가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과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일 에스토니아의 탈린공과대학(Tallinn University of Technology) 및 스웨덴의 윌슨 테라퓨틱스(Wilson Therapeutics AB) 연구팀이 ‘Scientific Reports’ 저널에 발표한 바에 따르면 체내 구리 조절의 문제는 멘케스 증후군, 운동신경세포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리는 체내에서 세포호흡 시 에너지 생성, 적혈구 생성, 면역 반응의 시작, 신경세포의 유지 등 다양한 대사활동에 관여하는 중요한 금속이다.

하지만 과다할 경우 파괴적인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염증을 일으키며, 뇌에 축적될 경우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적인 소견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의 생성 및 축적을 촉진한다.

연구팀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유도쌍 플라스마 질량 분석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라는 새로운 기술을 통해 체내에서 구리 이송에 관여하는 한 가지 단백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혈중 구리의 75%는 세룰로플라스민에 결합하고, 25%는 알부민에 결합한다.

세룰로플라스민은 구리와 너무 강하게 결합하여 이송에 적합하지 않지만, 알부민의 경우 결합력이 약하여 구리 이송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연구팀은 이 연구를 통해 체내에서 구리의 대사 과정을 이해할 수 있고, 구리 대사 이상에서 나타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박세용 (seyong720@mdtoday.co.kr)

[저작권자ⓒ 메디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인지 저하 늦춘 '키토 식사', 치매 예방 효과 있나
파킨슨병 치료제 '레보도파', 지속적 피하주사 요법이 경구요법보다 증상 조절 효과 좋아
2형 당뇨병과 알츠하이머 치매의 연관성, JAK3 단백질로 다시 한번 확인
알츠하이머병, 손목 활동 기록기로 예측할 수 있을까?
심뇌혈관질환 발생 규모 추정 알고리즘 개발…민감도‧특이도 90% 수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