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진단 통해 치매 예방 및 진행억제 기여 기대

묵인희·이동영 서울대 교수
묵인희·이동영 서울대 교수

[한국대학신문 이현진 기자] 혈액 한방울로 치매 진행정도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묵인희·이동영 서울대 교수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 유발물질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타우(tau, τ) 단백질의 뇌 축적을 혈액검사로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적 학술지인 브레인(Brain)의 표지논문으로 21일 게재됐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약 7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치매 질환으로, 뇌세포 손상이 진행된 이후 발견되면 근본적 치료가 어렵다.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한 이유다.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알츠하이머병의 발생원인 중 하나인 타우 단백질의 뇌 축적 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그간 검사를 위해서는 고가의 양전자 단층촬영(PET) 장비를 사용해야 하므로 많은 환자들을 진단하기 위한 저렴하면서도 정확한 축적 예측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연구진은 혈중에 존재하는 타우 단백질이 뇌 안의 타우 단백질과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혈중 타우 단백질 농도가 높을수록 뇌에 타우 단백질이 많이 축적돼 있다는 연관성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가 실용화되면 치매의 진행정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므로 치매의 예방 및 진행억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연구진이 선행 연구에서 발굴한 베타-아밀로이드 예측 기술을 함께 사용할 경우 보다 정확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후속 연구를 통해 치매와 관련된 추가적인 지표를 발굴해 치매 예측 정확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의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동영 교수는 “지금까지의 치매 진단 기술은 알츠하이머병 병인물질 중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던 반면 이번 연구 개발 기술은 뇌 내 타우 축적 유무를 판별하는 혈액 바이오마커를 개발한 것으로 기존 진단 기술과 크게 차별화된다”며 “혈액 타우 단백질 정량화 기술을 보다 개선하고 새로운 지표를 추가 발굴하는 등 지표들의 다양한 조합을 시도해 2단계 기술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