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학술논문 출판지식공유 <220회>이나고(크림슨인터랙티브코리아(주)) http://enago.co.kr 크림슨인터랙티브코리아(주) – 이나고(enago.co.kr) 는 서울대, 연세대, 동경대, 뮌헨대학교 등 세계 주요 대학의 박... |
|
|
 |
|
바이오토픽 <1083회>양병찬(약사, 번역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은행, 증권사, 대기업 기획조정실 등에서 일하다가, 진로를 바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약사면허를 취득한 이색경력의 소유자다. 현... |
|
|
 |
|
논문을 써봅시다 <4회>에스프리 (필명) 연구하면서 실험을 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게 논문을 쓰는 것입니다. 연구를 시작하는 생초보 연구자는 실험을 배우기도 바쁜데, 논문을 쓰는 것은 더 막막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
 |
|
암(癌)에게서 배우다 <76회>바이오휴머니스트(필명) 과학자의 꿈을 이루진 못했지만 주어진 삶의 현장에서 어설픈 휴머니스트라도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살아가는 평범한 직장인. 바이오분야 전공 대학졸업후, 제약사를 거쳐, 현재는... |
|
|
 |
|
과학자에게 보내는 철학 서신 <6회>전현우(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 과학철학을 공부했다. 철학이 오늘날의 정교한 지적 분업 체계 속에서 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지 고민하고 있다. 이 연재는 바로 이 고민에 대한 응답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려는 시도다.... |
|
|
 |
|
김재호의 생태에세이 <41회>김재호(<교수신문> 과학전문기자) 학부에서 수학을, 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학술기자, 탐사보도 연구원 등으로 일했다. 지금은 과학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자유롭게 글을 쓰고 있다. 환경과 생태의 차원에서 과학철학에... |
|
|
 |
|
생초보 논문 투고기 <2회>뉴로 학부에서 생명과학을 하다가 대학원에서 bioinformatics를 접해 매일 컴퓨터에 앉아 있는 대학원생이다. 최대 고민은 커져가는 뱃살! 그리고 졸업!
|
|
|
 |
|
바이오 인 비디오 <4회>편다현(영상분석 소프트웨어 중소기업 연구원 ) 대학에서 생물학을 전공했으며,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생활사를 연구해 졸업논문 우수상을 받았다. 현재 영상분석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또한 과학 및 다큐 방송을... |
|
|
 |
|
Life's like <3회>쏘르빈 과학을 현상을 넘어선 인문학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합니다.
누군가가 삶 속에서 과학을 발견한다면, 저는 과학 속에서 삶을 발견하며 이것을 글로 기록합니다.
포항공과대학교에서... |
|
|
 |
|
대학원 생활 적응기 <3회>세오 (필명) (Iowa State University) 국내에서 고분자 공학을 전공 후 Iowa State University에서 식물 생물학으로 석사, 유전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생명 과학 분야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연... |
|
|
 |
|
엽편소설 과학사 이모저모 <17회>박재용(오래된 공부 못하는 학생, 과학 작가, 사단법인 ESC 회원 ) 글쓴이의 아주 주관적이고 편파적인 시선으로 과학의 역사 곳곳에 드러난 혹은 숨은 여러 사건을 바라보고 이를 엽편소설 형식으로 씁니다. 소설이니 당연히 팩트가 아닌 점도 있습니다.... |
|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19회>LabSooni Mom (필명) 바이러스 연구와 백신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논문 보느라, 실험하느라 책장 한번 넘기지 못했던 시절을 지나고 이제서야 논문 밖 과학책을 읽고 소소한 소감을 나누고자 합니다. |
|
|
 |
|
마블 영화 속 생명공학 <4회>고은지(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마블 영화 속 생명공학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영화를 보면서 '저게 과연 현실에서 가능한 이야기일까?'라는 궁금증으로부터 만들어진 글입니다. 인물별로 하나하나 알아가 보도록 할 것이... |
|
|
 |
|
글로벌하게 배워보는 과학기술정책 이야기 <1회>뉴문(필명) 초승달(New moon)은 달이 차오르기 시작할 때의 눈썹 모양의 작은 달입니다. 생물학을 전공하였고, 정책기관에서 일을 시작하면서 과학기술 정책에 더욱 관심이 생겨 공부를 시작했... |
|
|
 |
|
과학통통(通通) <1회>정민정(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물세포생물학 연구실) 진리의 학문, 법칙의 학문인 과학, 사실은 "소통의 학문"이다? 과학소통에 대한 모든 것! |
|
|
 |
|
꿀벌! 팩트를 물다 <6회>강지혜(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 “만권의 독서! 한 권의 묵상!!”을 실천 중인 새내기 문장 노동자입니다.
“꿀벌! 팩트를 물다” 연재를 통해 생물 다양성과 관련된 교차 이슈(Cross-Cutting Issue... |
|
|
 |
|
유럽 포닥 지원의 기본 중의 기본 <2회>박솔잎(National Cancer Research Center; CNIO, Madrid) 예상치 못하게, 바르셀로나에서 포닥을 시작하였습니다. 정말 다행히도, 더 이상 좋을 수 없는 연구실에서 포닥 생활을 하였고 (물론, 연구는 쉽지 않았습니다), 해변을 따라 출퇴근하... |
|
|
 |
|
문제적 인물로 본 의학의 역사 <7회>김준혁(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연구센터)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소아치과 전문의가 된 다음, 새로 공부를 시작해서 국내에서 의료인문학 박사를, 미국에서 의료윤리 석사를 취득했다. 철학에 바탕을 두고 의학에 관한 서사적 접근과... |
|
|
|
|
 |
|
영.틀.신.반: 영화라는 틀과 신경과학이라는 반죽 <2회>박성모(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안녕하세요. [영틀신반] 연재를 맡게 된 박성모 입니다. 간략히 제 소개를 하자면, 현재 캐나다 토론토 Sickkids hospital 소속 연구센터의 Neuroscience M... |
|
|
 |
|
나무올림픽 <1회>건빵 (필명)(바이로이트대학교) 내일 인류가 멸망하더라도 한 그루의 나무를 심어야 할까요? 그렇다면 어떤 수종을 심어야 할까요? 바이로이트라는 작은 대학도시에서 작은 '기후숲'을 가꾸고 있는 유학생이 석사 졸업논... |
|
|
 |
|
분석장비 이야기 <7회>분석장비 탐험가 (필명)(㈜신코 연구개발부, 책임연구원) 분석장비업계에 종사한지 15년이 된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우연히 사내 교육담당을 하면서 글쓰기에 호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글과 함께 그동안 차갑고 무겁... |
|
|
 |
|
유전체로 꿈꾸는 세상 이야기 <9회>최경환(이원다이애그노믹스 (주) 전략기획팀) 유전체 비즈니스와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관련 동향 및 인사이트에 대해 소개할 예정입니다. |
|
|
 |
|
새 모델생물 운동 <2회>김천아, 김준(서울대학교) 제가 어렸을 땐 예쁜꼬마선충 말곤 연구하는 모델선충도 거의 없었는데, 요샌 세상이 너어어무 좋아져서 별별 선충은 물론이고 세상 신기한 생물들 연구가 쭉쭉 나오고 있습니다. 요런 듣... |
|
|
 |
|
생명윤리를 배우다 <11회>박수경(이화여자대학교 생명윤리학 박사과정생) 는 생명과학(Biology)을 전공하고 생명윤리학(Bioethics) 박사과정에 있는 학생으로서, 인간의 존엄과 생명 가치를 존중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써의 생명윤리학의 다양한 주제... |
|
|
|
|
 |
|
일상 속 생명과학 이야기 <39회>곽민준(POSTECH 생명과학과) 글을 통해 나의 지식과 생각을 표현하는 게 즐거운 평범한 생명과학도입니다. "일상 속 생명과학 이야기" 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아무렇지 않게 하고 있는 말과 행동에서 비롯된 생물... |
|
|
 |
|
알과정통 (알아두면 좋은 과학기술정책과 통계) <3회>이남우(KIST 융합연구정책센터) 과학기술계와 관련하여 다양한 통계가 존재합니다. 우리가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지만 그러한 연구 수행을 가능하게끔 하는 과학기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는 과학... |
|
|
 |
|
분자생태학 톺아보기 <6회>Pisces (필명)(Concordia University) 분자생태학을 전공하고 현재 박사후 연구원으로 “인위적 교란에 따른 담수어류의 진화"를 집단유전체의 방법론으로 연구하고 있다. 과학자는 지식의 발견과 더불어 지식의 확산이라는 소명을... |
|
|
|
|
 |
|
Bioprinting이야기 <3회>이배훈(Wenzhou Medical University) 본 연재를 통해 3D bioprinting 기술이 인류의 생명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함께 생각하며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
|
|
 |
|
국가생명연구자원 뉴스레터 <74회>KOBIC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rean Bioinformation Center, KOBIC, https://www.kobic.re.kr)는 생명연구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
|
|
 |
|
초심자를 위한 생물학+정보학 <53회>고주온(필명) (http://bioprofiler.tistory.com)IBM-XT시절부터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였으나, 강산이 변한 지금도 어제 코딩한 내용을 오늘 기억하지 못하는 자유인. 박... |
|
|
|
|
|
|
 |
|
바이오아이피 <28회>Equal J (필명) 매일매일 쏟아지는 다양한 뉴스를 접하면서 공유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을 선별해 간략하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
|
|
 |
|
즐거운 과식: 과학을 먹다. <5회>서지연(프리랜서) 경북대학교에서 동물공학(학부), 응용생명과학(석사), 식품공학(박사)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박사 후 연수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현재, 저널 리뷰어, 동향분석가, 구성... |
|
|
|
|
|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 <40회>김대환(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생물교사) 현재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생물교사, 인천야생조류연구회 회장
전공은 해조류 생리학과 수질조사 경력이 있었지만 교사가 된 후 생태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야생화, 곤충, 버... |
|
|
|
|
 |
|
과학협주곡 2 <44회>김우재, 문성실, 안희경, 한빈, 변서현 과학협주곡 시즌 2는 시즌 1 보다 더 다양한 필자들의 한국과학계에 대한 생각을 다룹니다. 나이, 성별, 직위, 직업 모두를 초월한 다양한 분야에서 과학과 연결된 필자들의 이야기는... |
|
|
 |
|
끄적끄적 - 생명과학자의 세상 읽고 쓰기 <3회>주영이 아빠 (필명)(바이오텍 회사) 연구를 하다 보면 늘 만나는 사람들과 실험실, 집이라는 공간에만 제한되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자기 연구가 아닌 다른 분야, 또 연구실의 일상만이 아닌 우리 사는 세상에 대한 기본... |
|
|
 |
|
컴퓨터를 이용한 신약개발 방법론 소개 <31회>신현길(안전성평가연구소 독성정보연구그룹) 컴퓨터는 게임기인줄 알고 살아왔었는데, 컴퓨터라는게 아주 유용하고 나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 좋은 도구라는 것을 대학원 과정 중에 깨닫게 되었습니다. 호기심이 많아서 MOOC에서... |
|
|
 |
|
암연구동향 <30회>국립암센터 국립암센터에서 발간하는 암연구동향입니다. 본 웹진은 국립암센터 연구진이 전문 연구 정보 자료로부터 암관련 논문 및 기사를 발췌 요약한 정보입니다. |
|
|
 |
|
연구소재은행 소식지 <8회>KNRRC 연구소재은행 소식지는 소재은행의 주요 활동, 새로 발굴한 소재, 논문 및 특허 성과, 연구소재 이야기, 외국자원센터 소개 등을 담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 |
|
|
 |
|
연구자들의 주거래은행 <16회>연구소재은행 실험할 때 균주, 바이러스. 세포주, 추출물, DNA, 단백질, 혈청, 나노소재 등이 필요하신가요? 연구소재은행에서 분양받으세요. 연구소재은행은 정부의 지원으로 인체유래물, 동물,... |
|
|
 |
|
과학협주곡 1 <27회>김우재, 남궁석, 김태호 과학협주곡은 두 명의 과학자와 한 명의 과학사학자가 함께 써가는 과학 주변의 이야기가 될 것 같습니다. 이야기가 어디로 흐르게 될지 우리도 알지 못합니다. 마치 재즈처럼, 세 명의... |
|
|
|
|
 |
|
BioTalk_공감 <22회>박현숙(California State Univ. LA) "미생물학자, '공부해서 남 주기’를 모토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연구합니다. 생명현상을 들여보다 떠오르는 생각들을 글로 적어봅니다. 그들의 삶은, 그리고 우리의 삶은? “ |
|
|
|
|
 |
|
창조과학연속기고 <16회>과학자들, 창조과학의 해악을 말하다 한국 사회의 과학은 개발독재 시대, 경제논리에 밀려 과학의 정신이 뿌리내릴 기회조차 없이 대학과 연구소에 자리잡았다. 과정의 합리성을 통해 진리에 다가가고자 하는 과학정신의 부재는... |
|
|
 |
|
푸른마음의 들꽃 이야기 <100회>김태원(포항 세명고등학교) 포항 세명고등학교에 부임한지 벌써 25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2003년도부터 산행을 하면서 산꽃 들꽃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울릉도, 제주도, 백두산 등 전국으로 돌아다니면서... |
|
|
 |
|
우리 몸속 미생물 이야기 <10회>박지은(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임상병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석사과정중에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보건복지부 기자단으로 1년 활동하였으며, 평소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여 과학의 매력을 일반인에게 전하... |
|
|
|
|
 |
|
신기한 곤충이야기 <230회>김진(국제곤충연구소 수석연구원, BRIC 곤충 칼럼니스트) 전라남도 여수시의 곤충전시관 “빠삐용관”에 근무 중이며, 나비와 딱정벌레의 생태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BRIC 곤충 칼럼니스트, 국제곤충연구소 수석연구원이며, 곤충도감을 집필... |
|
|
 |
|
제약기업 이야기 <4회>최진영(삼성경제연구소) 2011년 헬스케어 3.0 : 건강수명시대의 도래라는 보고서를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의 헬스케어 시대가 다가옴을 말씀 드린바 있습니다. 사이버공간에서 헬스케어 3.0 시대를 보다 구... |
|
|
 |
|
안녕 Windows 반갑다 Unix <4회>김지혜, 김현민(University of Colorado) 생명정보를 시작하는 이들에겐 진입장벽이 높아 불만스럽습니다. 그 벽을 오르기 위해 누군가를 밟고 올라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벽돌 한 장씩 가져와 내어 놓는다면 넘을 수 없는... |
|
|
 |
|
물방울의 담수생물 이야기 <51회>박종현(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생명의 근원인 물의 근본을 상징하는 ‘물방울’ 이란 이름으로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담수생태에 가장 관심이 많고, 일반 대중들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멘토링 및... |
|
|
 |
|
피카소의 광우병이야기 <22회>피카소 만성 퇴행성 뇌질환 및 신경계, 근골격계 질환 등을 다루고 있는 현직 의사이다. 의학 외에도 뇌 과학과 관련된 연구를 했으며, 신경과학, 진화생물학, 유전학, 심리학 등에 깊은 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