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하워드(Martin Howard) 교수 팀은 현화 식물(flowering plant)인 애기장대를 모델로 이용하여 생물체가 지난 사건(past events)을 세포 수준에서 어떻게 기억하는가에 대한 이해를 시도했다. 선행 연구들에서 겨울이 지난 뒤까지 식물의 개화를 중단시키는 브레이크로 작용하는 FLC라는 유전자가 저온 노출(cold exposure)로 인해 억제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KISTI |
|
![[바이오토픽] CRISPR, 뜨거운 감자?](/upload/geditor/201506/0.52771100_1433723312.gif?1433723312) |
"강력한 유전자교정 기술 CRISPR는 PCR 이후로 생물학계의 판도를 바꿀 최고의 기법으로 등극했지만, 엄청난 가능성 때문에 되레 우환(憂患)거리로 전락할 위험에 처해 있다."
지금으로부터 3년 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소재 글래드스톤 연구소의 브루스 콘클... |
|
IBS 김진수 단장, 세계과학기자대회 세션 개최...‘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세상을 바꾼다’ 주제로 발표와 토론 | Bio통신원 |
A new role for zebrafish: Larger scale gene function studies Eurekalert |
Research reveals key interaction that opens the channel into the cell's nucleus Eurekalert |
Reprogramming of DNA observed in human germ cells for first time ScienceDaily |
|
 |
|
건국대 정형민 교수팀, 줄기세포 바이오·의료연구개발사업 선정 중앙일보 |
메르스 백신·치료제 미국서 개발 임상실험 안 끝나 실전배치 지연 중앙일보 |
미세먼지 고혈압·심장병 위험 높인다 한국연구재단웹진 |
네이처 "메르스, 전세계적 위협요소 아냐" 헬로디디 |
바이러스 확산 예측 못하나 동아사이언스 |
|
생물과 무생물 경계에 있는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동아사이언스 |
인간은 바이러스를 어떻게 막아내는가 동아사이언스 |
돼지 배아에 인간세포 주입…이식용 장기 만든다 한국경제 |
iPS세포로 렛트증후군 일부 재현 의학신문 |
외신, 메르스 ‘위험보다 대응이 더 문제’ 의학신문 |
|
"메르스 끝이 아니다"…新바이러스 잇단 출현 우려 머니투데이 |
메르스, 아는 것이 힘이다 사이언스타임즈 |
토끼 바이러스가 골수 이식을 향상시키고 암 세포를 사멸시킨다? KISTI |
가당 음료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연관성 KISTI |
'BRIC' 통해 본 '메르스' 대응 방법? 헬로디디 |
|
TGen led study points towards new strategies for stopping the spread of Staph and MRSA Eurekalert |
|
|
 |
|
 |
세계 각국은 헬스케어 사업을 핵심 비즈니스로 육성한다. 특히 ‘의료+ICT’ 융합이 해결책으로 부각되면서 주요 나라는 정부 차원에서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하는 모양새다. 전자신문 |
|
오바마 정부,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근절 나서 헬스코리아뉴스 |
5788억원 짜리 유전체 정보 라이브러리 구축…개인별 맞춤의학 시대 열린다 전자신문 |
"메르스 대응 가용예산, 재난관리기금·예비비로 활용" e헬스통신 |
|
 |
|
이재용의 모바일 헬스케어 '꿈' 중국에서도 본격화 아주경제 |
나이지리아 의약품 시장, 한류 바람이 분다 헬스코리아뉴스 |
한미약품, 인슐린 부작용 줄인 당뇨 신약 가능성 열었다 한국경제 |
합성신약 VS 바이오약물 패러다임은 "구시대 유물" 데일리팜 |
"GMP투자도 특화"…글로벌 시장 공략에 초점 데일리팜 |
|
‘당뇨 신약’ 국산 대표신약 발돋움 아이팜뉴스 |
스마트 헬스케어, 규제의 덫에 갇혀 후진국으로 전락 전자신문 |
국내 업체도 뒤질쏘냐... IT 헬스케어 열풍 전자신문 |
개인 맞춤형 치료 가능 유전체 연구 '주목' e헬스통신 |
웨어러블장비, Health & Medical 분야가 '대세' e헬스통신 |
|
|
 |
|
 |
“감염성 질병은 이제 대부분 끝이 보인다.” 1969년 윌리엄 스튜어트 당시 미국 공중보건국장은 이처럼 말했다. 효능 좋은 백신과 항생제로 무장한 인류의 자신감의 표출이었을 것이다. 이데일리 |
|
![[과학 오디세이]메르스, 임계전이 그리고 계산역학](/upload/board/files/news/nes_3/photo0260543_1.jpg?1433725967)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이 우리 사회를 강타하고 있다. 전쟁과 전염병은 인류를 위협하는 대표적 사건이다. 14세기, 1억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흑사병이나 1920년 5000만명을 사망케 한 스페인 독감은 대표적인 지구적 전염병이다. 경향신문 |
|
|
 |
|
![[아이디카의 꽃.나.들.이]131. 기생꽃이 들려준 이야기](/upload/geditor/201506/0.77122500_1433722844.jpg?1433722844) |
기생꽃을 보려고 높고 가파른 설악의 산줄기를 오르면서 필시 보통 기생은 아니겠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설악이나 태백산에 사는 기생꽃은 국명이 ‘참기생꽃’이며 기생꽃은 참기생꽃보다 소형이고 습지에 산다고 한다. 댓글 | Bio통신원 |
|
[테마웹툰] 논문, 출판윤리란? 한국연구재단웹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