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32건 |
정확도순 ㅣ 날짜순
|
Q. LB plate에서 spreading 모양이 이상하네요.. |
LB plate에 E.coli를 삼각봉을 이용해서 spreading 하는데...
일반 plasmid를 transformation한 경우에는 골고루 넓게 잘 spreading ... 끝났느냐 아직 진행중이냐의 차이 밖에 없는데...
왜 spreading이 그렇게 될까요 ... |
답변 0 | 2007.11.20 |
|
Q. spreading 질문 |
플라스틱spreader 바꿔가면서 해봐도 자꾸 자라질않네요ㅠㅠ
spreading시 요령같은거 아시는분 있으면 알려주시면 안될까요ㅠㅠ. ... |
A. 방법으로 얻은 대장균인지요?
stock에서 spreading하신 것인지요?
콜로니 수가 너무 많다면, stock 자체를 희석해서 소량 사용하시고,
콜로니 크기가 너무 작다면, 배양 시간을 늘려 보시길 권합니다.
좋은 ... |
답변 2 | 2013.11.29 |
|
Q. Spreading을 할때 떡지는 현상. |
한시간 전에 IPTG와 함께 spreading합니다.
그런데 밤에 spreading하여 다음날 아침에 확인해 보면 많은 경우 plate의
중앙은 떡이 져 있고 가장자리에만 몇개의 colonies가 보입니다.
왜 그런지, 또 해결책은 ... |
A. 콜로니 색깔은 흰색만 있나요? 아니면 푸른색만 있나요?
푸른색만 있다면 vector의 제한처리가 되지 않은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문맥으로 봐서는 흰색 콜로니만 있다고 생각되네요 ... |
답변 4 | 2006.08.12 |
|
Q. spreading 시 일어날 수 있는 컨탐 |
spreading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고 가정을 할건데
spreading을 할 때 박테리오파지에 컨탐이 돼서 대장균이 다 죽을 수도 있나요??
만약에 그렇게 되면 배지에는 e.coli와 다른 형태의 colony가 뜨나요?? |
A. 의한 현상이라면 이 실험에 사용했던 배지, buffer, tip 통, spreading용 유리막대 등을 모두 버리세요.autoclave만으로는 부족합니다 ... |
답변 2 | 2019.12.01 |
|
Q. spreading과 colony형성 수에 관련이있나요? |
transformation 된 E.coli를 selection하기 위해 blue-white screening 과정에서
plate에 spreading 할 때 spreading을 잘 못하면 colony 수가 적게 나올 수가 있나요 ? |
A. spreader를 사용하시면 colony 수가 적게 나올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spreading을 잘못하면 고른 분포의 콜로니를 얻지 못하고 한쪽에 뭉쳐져 뜨는게 일반적입니다
콜로니 수를 결정하는 큰 요인은 아니라고 ... |
답변 1 | 2014.04.16 |
|
Q. spreading 질문 |
e.coli를 LB plate에 spreading할 때
정상적으로 깔리는게 아니라
카펫처럼 바닥도안보이게 촘촘히 깔리는 경우는 무엇이 잘못되서 이런 결과가 나오는건가요?? |
A. 경우 (아마도 c.cell 프렙을 위한듯한데..) 1마이크로리터만 spreading해도 엄청나게 colony가 생깁니다. 물론 어떤 cell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그럼 좋은 결과 얻으시길 ... |
답변 2 | 2014.01.13 |
|
Q. LB 배지에 spreading을 하기전 알코올램프를 클린벤치안에 켜놓는 이유 |
고체 LB 배지를 spreading하기전에 클린벤치안에서 여러개의 배지 뚜껑을 열어놓고 주변에 알코올램프에 불을붙여 놓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A. 아무리 클린밴치라도 그 속으로 뭔가를 넣어야 하고 손이나 기타 장비를 넣어서 실험을 합니다.
그러 이유로 크린밴치 안에서도 알콜램프를 켜서 그때그때 멸균조작을 해야하지요.
특히 streaking하는 ... |
답변 4 | 2017.03.22 |
|
Q. 미생물 배양시, spreading과 pouring 선택기준은..? 균종류에 따라? |
시작하는 학생입니다.
다름이아니라,
미생물 배양시에
spreading과 pouring이 있는데요,
균종류에 따라 어떻게 배양할 지 결정하는건가요?
어떻게 하는것인지?
그리고, 배양된 균을 다시 순수분리할 때, ... |
A. 보통은 spreading을 하죠.
해봐야 E. coli 정도의 세균이니까요.
종종 anaerobic bacteria의 경우 pouring을 합니다.
산소와 세균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노력입니다.
pouring 을 하면, 세균이 얇은 agar 층에 ... |
답변 1 | 2009.05.01 |
|
Q. IPTG를 배지에 spreading하려고 합니다. |
있나요??
그리고 IPTG를 배지를 만들고 바로, 아니면 cell spreading하기 전에 넣어야 하나요?
아님 상관 없나요??
이때 IPTG를 넣은 배지는 4도시에서 보관해 두어도 되는건가요??
처음하는거라 질문이 넘 ... |
A. cell spreading할 때 바로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IPTG spreading한 plate를 4도에 보관해도 좋지만 장기간 보관은 삼가하시고
저는 항상 cell spreading 직전에 사용합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SPEED |
답변 4 | 2008.05.30 |
|
Q. transformation 후 spreading |
후 spreading을 진행했습니다.
spreading 후 overnight 지난 후에 plate를 빼야되는걸로 아는데 22시간이 지난 후에 꺼낸 plate로 seed하여 mini prep을 진행해도 괜찮은 걸까요?
제가 알기로는 30시간 까지는 괜찮다고 ... |
A. 안되는건 아니에요! 근데 amp+ e.coli의 경우에는 satellite colony가 생길수 있으니 가운데 colony로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물론!! 다음부턴 22시간까지 키우시지 않는게 더 좋습니다(18시간 정도가 적당합니다) |
답변 2 | 2022.07.28 |
|
|
|
|
|
|
|
|
|
|
|
|
[공지] 한국연구재단 검색은 해당 시스템 종료로 인해 서비스 종료되었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