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6건 |
정확도순 ㅣ 날짜순
|
Q. cell이 overgrowth되면 실험에 영향을 많이주나요? |
smooth muscle cell로 천연물 apoptosis를 측정하려고 하는데요.
seeding 과정에서 cell이 생각보다 많이 깔려서 물질처리 48시간 후에는 충분히 overgrowth
될 것같습니다.
이것때문에 실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
A. apoptosis가 잘 안보일수 있습니다.
cell-cell communication이 cell death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consistent 한 데이타를 원하시면, 항상 비슷하게 cell을 깔아주는게 중요합니다. |
답변 4 | 2014.04.10 |
|
Q. 약물처리 후 cell overgrowth |
48시간정도 됐는데 벌써 cell들이 웰에 가득 자랐더라구요
overgrowth 되도 실험 결과에 큰 지장이 없는건가요? ... |
A.
그리고 90 % 정도 찼을 때 약물처리해도 3일 뒤까지 overgrowth로 죽진 않더라고요.
근데 90%보다 적을 때 약물처리하면 멜라닌 생성이 좀 늦춰지더라고요.
(저희껀 passage가 쫌 된 애들이라 다를 수도 ... |
답변 4 | 2015.11.05 |
|
Q. 세포가 overgrowth가 되면 성질이 변성된다는데 왜 변성 되는지 알려주세요. |
석사1년차입니다.계대배양을 할려고 하는 데 세포가 overgrowth되었다고 하는데,
세포변성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세포변성이 왜 일어나는지 알려주십시오 |
A. 저도 자세하게는 모르지만 대강적인 종양생물학지식으로는
normal cell은 attached해야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때문에 mono layer로 자라고 공간이 부족하면 분열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반면에, cancer cell ... |
답변 2 | 2018.04.10 |
|
Q. Cell overgrowth |
간단히 질문드리겠습니다.
Cell이 overgrowth가 되면 media 색이 노란색으로 바뀌고 셀이 plate 상에서 뜨게 되나요?
왜그런지도 설명부탁드립니다!
이제막 입학해서 어렵네요 ㅠㅠ |
A. 간단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배지가 노랗게 되는것은 대사산물로 pH가 떨어져서 그렇습니다.
또 셀이 뜨는것은 붙착세포의 경우 죽게 되면 plate에서 뜨게 됩니다. |
답변 1 | 2019.03.14 |
|
Q. 이거 cell overgrowth 된 건가요? |
ㅠㅠ
파란색 동그라미 친 부분이 cell 모양이 많이 다른데 overgrowth가 났던 cell인 건가요?
upload_image
upload ... |
A.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지금도 confluency가 많이 높습니다.
seeding을 더 적게 하시거나 sub-culture 타이밍을 좀 더 빠르게 하실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답변 1 | 2022.05.13 |
|
Q. Antibiotic selection 할때 overgrowth문제 |
것을 줄일 수가 있었는데 48시간을 처리하려고 하니 overgrowth하는 기간이 길어져서 실험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합니다. 그래서 cell seeding number를 줄여볼까도 생각해봤는데 그렇게 되면 infection rate에 ... |
A. lentivirus transduction에 의한 protein expression은 genome integration과정이 필요함으로 통상적인 plasmid transfection에 의한 것보다 느립니다.
제가 lentivirus으로 cell line을 만드는 경우 저녁에 targeting cell에 +add ... |
답변 2 | 2019.02.13 |
|
Q. 셀 자라는 속도 문의드립니다.. |
계대하면 되겠거니 생각하고 있었는데 배지가 노랗게 뜨고 overgrowth 된 것 처럼 세포도 붕 뜨더라구요.. 그래도 거의 붙어있어서 그거라도 계대를 했는데 동글동글한 모양으로 본래의 morphology를 잃은 ... |
답변 0 | 2022.12.03 |
|
Q. cell 이 over growth됬을때. |
media색깔이 노랗게 변하잖아요.
pH가 변해서 그런 것 같은데,맞나요?^^;
그렇담 cell이 overgrowth됬을때 pH가 변하는 이유는 뭔가요? |
A. CO2를 생각하시면 될듯 |
답변 2 | 2007.06.05 |
|
Q. bhk21 cell |
bhk21 cell을 처음 키우는데 90% 채우고 실험하려다가 깜박하고 하루가 지났습니다.
그리고 cell을 보니까 바닥에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 있었습니다.
bhk21 cell은 overgrowth 되면 바닥에서 떨어지나요?? |
답변 0 | 2015.09.08 |
|
Q. Half life가 긴 단백질에 대한 shRNA 효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그런데, 이전에 siRNA를 가지고 사용할 때도 그랬고, Overgrowth로 인해서 문제가 되더라고요. 또 적은 양의 cell일때, shRNA나 siRNA를 transfection하려해보아도 Target protein의 expression 감소가 미약한 것 같고요. ... |
A. 글을 읽어보니 stable line을 만드시려는 것도 아닌듯 한데.
Overgrowth 문제는 그냥 re-seeding을 하면 됩니다. Knockdown phenotype을 보기까지 좀 오래 걸리는 유전자들이 있는데, 저는 72시간 knockdown 후 다시 ... |
답변 1 | 2014.12.15 |
|
|
|
|
|
|
|
|
|
|
|
|
[공지] 한국연구재단 검색은 해당 시스템 종료로 인해 서비스 종료되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