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건 |
정확도순 ㅣ 날짜순
|
Q. western 시 sample cooking |
western blot 시 sampling 하고 -20oC에 보관해 놓았다가
running 할 때 다시 끓여서 사용하고 있는데,
단백질이 할 때마다 조금씩 달라집니다.
혹시 쓸때마다 cooking 하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을까요? |
A. 이미 한 번의 heating으로 필요한 변성은 끝났는데 굳이 변성을 한 번 더 하는 이유가 있나요? |
답변 6 | 2022.10.06 |
|
Q. Western용 protein loading sample 만들 때, cooking time |
sample을 만드려고 합니다.
(protein + D.W + dye) mix해서, 5분간 cooking 후 사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혹시...
이 시간을 15분 정도로 오래 방치했다면, western 결과에 영향을 주나요?
sample 다시 만들어야 ... |
A. 문제가 없을것 같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그냥 진행해 보세요...
좋은결과 얻으실꺼에요...
저같은경우는 western용은 15분간 끓이고 하지는 않지만....
bead같은것들을 끓일때는 쪼금 오래하기도 ... |
답변 3 | 2009.07.04 |
|
Q. Western 실험 재시도시 signal이 안뜨는 문제 |
단백질 cooking을 하는데, Western blot을 3회정도 할수 있을 분량을 cooking하거든요. 그 sample을 가지고 western blot을 하면 처음에는 signal이 잘뜨는데, 다시 재현실험을 하면 signal이 뜨질 않습니다...하나도요.. ... |
A. cooking이란게 boiling 한다는 의미죠?
단백질 시료에 dye를 넣고 boiling 해서 냉동보관하면 상당기간 보관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시 실험하느라 시료를 젤에 로딩하면, 특히 spin down해서 loading하면 대상 ... |
답변 2 | 2016.03.28 |
|
Q. western blot을 위한 protein sample보관 관련 |
안되나요?
실험하기 전에 바로 cooking을 해서 써야하나요?
cooking해서 하루 정도 안에는 써야된다는 분들이 있어서요.
어떤 분들은 한달넘게도 보관했다가 실험 한다는 분들도 있어서
궁금해 선배님들께 ... |
A. 보관을 잘 만하시면 오래 보관하셔도 상관은 없지만 사용전에 다시한번 cooking을 해주시면 좋겠죠? |
답변 2 | 2008.11.07 |
|
Q. sample buffer 로 바로 lysis 할 때 주의할 점이 있을까요? |
중 별도의 lysis buffer 없이 바로 sample buffer 로 lysis 해서 cooking 후 run 할 때 이쁜 밴드가 잘 나오는 데이터들을 확인했습니다.
저도 오늘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했는데, 워싱 후 펠렛을 살짝 풀어준 후 ... |
A. gel에 loading을 하시나요? 점도가 있는 것에 대해 걱정이라면 Cooking을 한 다음에 centrifuge를 강하게 돌린 다음에 상층액을 loading해서 실험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 |
답변 2 | 2020.11.18 |
|
Q. tissue cell의 extract prep (for WB) |
웨스턴 결과를 낼 수 있는 prep 방법이 없을까요??
아울러 cooking후에 원심분리를 5-10여분 돌리고 상층액만을 로딩하면 깨끗하다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heating에 의해 denaturing된 단백질의 침전은 ... |
A. Buffer의 용량에 비해 cell의 수가 많거나 또는 원심분리가 충분치 않아 그런 것 같습니다. 통상적으로 위 비율이 맞다면 sonication을 하지 않고 단지 vortexing만으로도 충분히 cell을 깰 수 있습니다.
원심분 ... |
답변 2 | 2006.02.14 |
|
Q. non reducing codition에서 웨스턴하는 방법,,, |
SDS-PAGE gel 만들때 SDS만 빼고 만들면 되나요?
그리고 cooking buffer(X5) 만들어서 사용하는데요
이 버퍼에서 SDS와 B-MeOH만 빼고,
그리고 boiling생략,,,
제가 알고 있는 방법입니다
보시고 잘못된 점이나 보완할 ... |
A. Native와 non-reducing조건은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지금 말씀하신 조건은 native 조건입니다. non-reducing조건은 beta-mercaptoethano을 빼는 것만 제외하곤 SDS-PAGE와 동일한 조건입니다. |
답변 1 | 2008.03.19 |
|
Q. QPCR후 DNA |
QPCR후 DNA사이즈 확인위해 gel run하기전 85도에서 4~5분 cooking(boiling)하는
이유가 뭔가요? |
A. 글쎄요? 아무래도 랩 프로토콜인거 같은데, 일반적으로 qPCR산물을 전기영동할때, 반응 이후 추가적인 가열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
답변 1 | 2020.09.26 |
|
Q. 남쪽바람님.... |
걷어서 거기에 lysis buffer를 넣고 기존의 방법대로 95도에서 cooking하면 되나요?
그리고 media에서는 actin이 없으므로 media를 걷어서 bio-rad를 넣어서 단백질 정량하면돼나요?
기존의 western방법에서 media만 ... |
A. mmp와 TCA로 검색하시면 예전에
남쪽바람님이 올리신 좋은 방법이 나올겁니다...
저도 그 방법대로 했는데 실험 방법이 쉽고 결과도 잘 나왔습니다..
TCA와 acetone으로 배지를 농축해서 western하는 방법이죠. |
답변 1 | 2006.05.22 |
|
Q. IHC (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 |
문제입니다. 교수님께서 하는 말씀이
" 이 slide을 cooking으로 고온시켜 sample을 준비하라고 하는데요...
정확히 왜 이 과정을 하는건가요? IHC 고수님들의 도움을 청합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
A. citrate buffer를 사용하여 retrieval을 말씀하시는 것일수도 있고
paraffin fix된 상태라 paraffin을 녹이고 gross를 하라고 하시는 말씀일 수도 있습니다.
paraffin으로 만들어진 block이라면 deparaffinization protocol을 따 ... |
답변 4 | 2009.03.27 |
|
|
|
|
|
|
|
|
|
|
|
|
[공지] 한국연구재단 검색은 해당 시스템 종료로 인해 서비스 종료되었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