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8건 |
정확도순 ㅣ 날짜순
|
Q. 안녕하세요 running buffer와 gel 농도에서 TBE buffer conc관련 질문드립니다. |
나와있는데
tbe buffer conc는 러닝버퍼와 겔 ... 30% acrylamide gel 에서 tbe buffer 하는 역활이 뭔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A. running buffer 내 버퍼 농도가 그 정도 ... 대부분 발열 때문입니다.
TBE에서 Tris/borate는 pH buffering 및 전기전도에 관여하고, EDTA는 DNA에서 cation 제거, metalloprotease/DNase inhibition 등의 역할을 합니다 ... |
답변 1 | 2018.03.14 |
|
Q. TBE buffer 농도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만들고자 하면,
10x TBE buffer 1.5ml + DW 8.5ml 로 섞으면 1.5x TBE buffer 10ml이 되는 것이 맞나요?
2) 22wt% glycerine 농도를 맞추고자 할 때에, 1.5x TBE buffer를 만들어 놓고 glycerine을 추가하면 TBE buffer의 농도가 ... |
A. .5ml 하시면 1.5X 되는것은 맞고요
다른것을 첨가한다 하더라도 TBE의 농도는 변하지 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1%소금물에 설탕을 넣어도 소금의 양은 변함이 없으니까 농도는 변하지 않는 원리라고 ... |
답변 1 | 2013.10.23 |
|
Q. TBE BUFFER가 DNA SQUNECING에 쓰이는 이유 |
DNA SQUNECING과정 중의 전기영동에서 TBE BUFFER를 쓴다고 하는데..
굳이 이걸쓰는 이유가 있나요?? 밴드가 더 클리어 하다는데
그 이유는무엇인가요?? |
A. TBE buffer가 갖는 높은 capacity와 낮은 conductivity 때문에
주로 EMSA와 DNA sequencing 같은 PAGE용 buffer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molecular cloining 책을 참고해보시죠... |
답변 1 | 2008.07.02 |
|
Q. TBE buffer의 Ionic strength 계산 |
제가 알고 싶은 내용은 TBE buffer의 Ionic strength의 ... 싶습니다.
제가 사용한 TBE buffer의 조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Tris : 0.089 M, Boric acid : 0.089 M, EDTA : 0.002 M
바쁘시더라도 알고 있으신 내용이 있으시면 답변 ... |
답변 0 | 2013.05.16 |
|
Q. 전기영동 buffer 관련 |
질문 드립니다.
1X TBE buffer로 gel을 만들고
0.5X TBE buffer 와 1X TBE buffer에 loading시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단순히 저항차이라는것만 알겠어서요.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꼭 농도가 같게끔 ... |
A. TAE buffer에 TBE gel을 내려본 적은 없지만...
저는 항상 1x TBE로 gel을 만들고 0.5x TBE를 running buffer로 사용해 왔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
답변 2 | 2013.04.10 |
|
Q. TBE buffer로 DNA 전기영동시, |
몇일동안 TBE때문에 말썽이네요,
TBE buffer
at DW 1L
Tris 54g
boric acid 27.5g
0.5 M EDTA (pH8.0) 20ml
이렇게 molecular cloning에서 처럼 5X를 만들었습니다.
NaOH로 5X pH 8.0 정도로 맞춰주고요.
그런데, 전기영동하면 ... |
A. 0.5X로 희석했어요~ |
답변 4 | 2010.02.18 |
|
Q. TBE gel을 TAE buffer로 로딩해도 나올까요? |
근래에 들어 추출한 RNA를 TBE gel을 만들어서 TBE buffer로 로딩하고 있는데
이게 일주일에 1회 정도만 진행하게 되어 쓸때마다 TANK를 비우고 다른 buffer채우고
하다보니 문득 이런 의문이 들드라구요
running ... |
A. Why not?
우리 랩에서는 그래서 TBE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
답변 3 | 2012.12.03 |
|
Q. TBE buffer에 흰색 결정체가 생기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
전기영동 buffer로 TBE buffer을 만들고 한달 정도 RT에서 보관했는데 흰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다시 용해하기 위해서 세게 휘저어도 없어질 생각을 안하네요?
이 흰색 침전물은 무엇이고? 전기영동에 ... |
A. 저도 5X 만들어놓으면 몇달정도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흰색 결정이 생기는데...
휘젓거나 가열한다고 없어지지 않더라구요. 그게 뭔지 저도 궁금..ㅋ
그냥 그래서 그때그때 쓸만큼 만들고 침전이 생기 ... |
답변 4 | 2011.03.17 |
|
Q. TBE buffer 만들어져 나온거 있나요 |
TBE 버퍼를 만들기가 손이 많이 가서 그러는데요,
쓰기 쉽게 만들어져 나온 제품들 있는지요.
어디 회사게 좋고 장단점은 뭔지요 |
A. 전 웰진에서 사서 썼습니다.
10X TBE, 가격은 1리터에 25000원이었어요^ㅡ^
희석하면...꽤나오고, TBE가 휘발성이 없어 오래쓸수 있는것을 감안하면 사는것도 좋은듯. |
답변 3 | 2006.04.10 |
|
Q. TBE buffer 관련 |
TBE buffer의 PH도 전기 영동에 영향을 미치나요? |
A. pH는 전자의 수와 일치합니다. 전자의 수는 전기전도도에 영향을 줍니다.
TBE는 넣으라는대로 정확히 넣기만 하면 pH가 맞지만, 뭐든 잘못넣어 pH가 바뀌면 전기영동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답변 3 | 2013.04.06 |
|
|
|
|
|
|
|
|
|
|
|
|
[공지] 한국연구재단 검색은 해당 시스템 종료로 인해 서비스 종료되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