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제 생각에는 오히려 이곳에 낸 것이 더욱 잘됬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토론을 외국 과학자도 볼수 있고, 많은 한국 과학자들이 더욱 접근이 용이 할수 있어, 비판과 토론이 좀더 자유로울 테니까요..
참고로 에디터 보드 멤버들입니다.
Subject Editors
Prof. Kang, Yeon June (Dynamics, Vibration and Noise), Seoul National Univ., Korea
Prof. Choi, Jooho (Materials and Design Engineering), Korea Aerospace Univ., Korea
Prof. Jeong, Sangkwon (Thermal and Power Engineering), KAIST, Korea
Prof. Kim, Dae-Eun (Production Engr and Fusion Technology), Yonsei Univ., Korea
Prof. Wang, Long (Robotics and Control), Peking University, China
Prof. Yang, Kyung-Soo (Fluids Engineering), Inha University, Korea
잘몰라서 (2011-05-19 10:57:11 )
사족을 달자면, 반 합조단들과 합조단측의 다운로드와 인용으로 인하여, SCI impact factor 올해 많이 올라 갈것 같습니다..ㅎㅎㅎ...
팩터는 얼마 많큼 인용이 많이 되는냐에 관련 되어 있거든요..외국에서도, 송교수의 논문을 많이 인용할것으로 판단되니..오히려 저널측에선 잘된 일일수도 있습니다. 센서티브한 주제에 대한 양날의 검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