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커뮤니티
한국요꼬가와전기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시스템 점검 : 4월 6일 목요일 오후 10시
전체보기 소리마당 학회룸쉐어 Sci카페 SciON(설문조사)
조회 5275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이책봤니? - 홍보
올리버 색스, 『모든 것은 그 자리에』
올리버 색스 | 알마 | 2019년 4월
회원작성글 Homo runners
  (2019-08-12 07:26)
파일첨부 1 : DSC5460.jpg (76 KB)

빌 헤이스의 편집후기: 열세 권의 책을 쓴 올리버가 출판 사랑을 멈추지 않은 이유

▶ 올리버 색스는 글쓰기(여기서 '글쓰기'란 '쓰는 행위' 일체, 즉 만년필에 잉크 채우기, 노란색 리갈패드 새로 시작하기, 떠오르는 단어 크게 중얼거리기를 의미한다)를 사랑한 것만큼이나, 출판을 사랑했다.

올리버에게 출판은 삶의 커다란 일부였다. 평생 동안 열세 권의 책과 수백 편의 에세이/칼럼을 출판했음에도 불구하고, 올리버는 자신의 원고가 출판되는 것을 여전히 일종의 '특권'으로 여겼다. (그가 마지막으로 본 자신의 출판물은, 세상을 떠나기 불과 15일 전인 2015년 8월 30일 <뉴욕타임스>에 실린 "안식일"이었다.) 그가 출판매체에 개의치 않았음을 안다면, 독자들은 소스라치게 놀랄 것이다. 그는 가장 저명한 대중매체, 즉 미국의 작가들에게 성삼위일체(holy trinity)로 여겨지는 <뉴욕타임스>, <뉴요커>, <뉴욕 리뷰 오브 북스>와 같은 곳을 굳이 원하지 않았다. 물론 자신의 원고가 그런 매체에 실린다면, 행운으로 여겼을 게 분명하지만.

자신의 에세이나 칼럼이 와 같은 문학저널에 실리든, 같은 전문 의학잡지에 실리든, 또는 발행부수가 비교적 적은 와 같은 상업잡지에 실리든, 그의 행복감은 동일했다. 모든 매체는 나름의 독특한 독자층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해당 독자들에게 훨씬 더 심오하게 향유될 수 있었을 테니 말이다.

▶ 이제 33편의 다양한 에세이들을 한 권에 모은 올리버 색스의 마지막 에세이집 『모든 것은 그 자리에: 첫사랑부터 마지막 이야기까지』가 출판되었다. 그의 사후에 출간된 『고맙습니다』(2015), 『의식의 강』(2017)과 마찬가지로, 『모든 것은 그 자리에』는 30년간의 개인 편집자이자 조력자인 케이트 에드거, 크노프(Knopf)에서 오랫동안 그의 책을 편집한 댄 프랭크, 그리고 그의 마지막 6년간을 곁에서 지켜본 내가 공동으로 편집했다. 우리 셋은 약 18개월 동안 100여 편의 에세이를 읽고 또 읽었고, 빈번히 모여 토론을 벌였다.

올리버의 생전에 그와 상의를 거쳐 출판된 두 권의 유고집과 달리, 『모든 것은 그 자리에』에는 그의 생각과 지침이 반영되지 않았다. 그는 『의식의 강』 이후에 한두 권의 에세이집을 추가로 발간할 생각이었지만,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체계화할 겨를이 없었다. 그리하여 그 임무는 우리 세 사람에게 일임되었다.

1차 편집회의에서 우리가 제기한 첫 번째 의문은, 독자들의 예상과 전혀 달랐다. 우리는 "올리버가 뭘 원했을까?"를 자문(自問)하지 않았다. 그 대신, 우리는 "올리버 자신과 그의 저술을 제일 잘 안다고 자부하는 우리조차, 올리버를 제대로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고 물었다. 또한 우리는 올리버가 편집자들을 깊이 존중했음을 기억했다. 그가 생각하는 편집자의 역할은 '판단 내리기', '비판적인 코멘트 하기', '단어가 됐든 문단이 됐든 전문(全文)이 됐든, 뭔가 잘못 됐거나 모호하다면 서슴없이 지적하기'였다.

자신의 비망록인 『온 더 무브』의 초고를 크노프(Knopf)에 제출한 후, 편집자 댄으로부터 교정지를 받았을 때 올리버가 보였던 반응이 생생히 기억난다. 댄은 올리버의 원고를 진심으로 사랑했지만, 중요한 것 한 가지가 누락되었음을 세심하게 지적했다. "당신의 사랑하는 형, 심각한 조현병에 걸렸던 마이클에 대해 뭔가를 써야 했어요." (올리버는 그 이전까지 마이클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그로부터 며칠 후, 올리버는 전혀 새로운 장(章)을 하나 추가했다. 그것은 가슴이 터질 것 같은 담담한 글로, 자신이 돌본 환자들에 대한 공감을 심오하게 통찰했다. 그 환자들 중 상당수는 - 마이클과 마찬가지로 - 자신의 질환 때문에 병원에 입원하거나 소외된 경험이 있었다.

올리버가 잡지와 신문에 기고한 글에는, 그를 완전히 돌아버리게 만드는 스타일의 편집관행이 몇 가지 있었다. 예컨대 미국의 출판사들은 그의 영국식 표현인 관계대명사 'which'를 'that'으로 바꾸는 게 상례였다. 그러나 그는 그런 관행에 전혀 순응하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NYRB는 그의 각주(footnote)를 미주(endnote)로 바꿀 것을 요구했는데, 상습적으로 각주를 사용하는 작가인 올리버에게 그런 요구사항은 어울리지 않았다. 그러나 그건 <뉴요커>에 비하면 약과였다. 각주와 미주를 완전히 금지하고, 해당 내용을 삭제하거나 본문에 통합할 것을 요구했으니 말이다(올리버의 각주는 나중에 출판할 신간에 포함하기 위해 저장되었다).

▶ 그렇다면 올리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올리버의 원고를 편집하는 우리의 기분이 어땠을까? 음, 가장 명백한 점(우리가 그를 몹시 그리워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별로 재미가 없었다'는 것이다. 글쓰기는 올리버에게 많은 기쁨을 주었으며, 그가 느낀 기쁨은 주변 사람들에게 전염되었다. 각각의 글쓰기 단계는 제각기 보상을 제공했다. 맨 먼저 (아름답게 타이핑된, 하얗고 깨끗한 페이지로 구성된) 첫 번째 교정지를 받아들면, 그는 총천연색 사인펜 세트를 이용하여 재빨리 표시를 했다. 두 번째로 받는 것은 갤리 교정쇄(출판되기 몇 달 전 비평가들에게 배포됨)이고, 최종적으로 받는 것은 물론 완성본의 초판이었다. 생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는 "책을 출판할 때는 반드시 축하파티를 열어야 한다"고 굳게 믿었다. 그가 선호하는 것은 훈제연어, 신선한 청어, 샴페인, 그리고 많은 친구들이었다.

나와 두 명의 공동편집자가 『모든 것은 그 자리에』를 편집할 때, 우리가 에세이를 선별할 때 따랐던 지도원리(guiding principle)는 "최고수준인가", 다시 말해서 "올리버 색스가 이미 출판한 책에 실린 에세이들만큼이나 훌륭한가?"였다. 운좋게도, 우리가 그 비교대상으로 사용할 올리버의 저술들은 방대하고 다양했다. 그러나 올리버가 수행한 사례연구의 경우, 결정하기가 매우 까다로웠다. 그가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와 『화성의 인류학자』를 위해 선별했던 사례연구의 수준이 워낙 높았으므로, 『모든 것은 그 자리에』에 수록되는 사례연구도 그만큼 강력해야 했다.

우리가 편집과정에서 종종 떠올렸던 좌우명은 "이 에세이집이 스크랩북처럼 보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여기서 스크랩북이란 - 일부 선집(選集)이나 유고집들이 그렇듯 - '무작위적이고 잡다한 에세이'로 가득 찬 책을 말한다. 에세이들을 일관되게 배열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바로 그 때문이었다. 우리는 이 책이 나름의 내러티브적 흐름을 갖고, 올리버가 평생 동안 걸어온 길을 한눈에 보여주기를 원했다. 1부에서 올리버의 최초 기억 - 아주 어린 시절 아버지와 수영했던 일로 서두를 장식한 한 후, 화학·도서관·런던자연사박물관에 대한 소년기의 열정으로 넘어간 것은 그러한 의도를 반영한다. 2부는 독자들을 '신경학자인 올리버'의 삶으로 인도하며, 색스 박사의 마지막 사례연구 15편 모음집으로서 거의 '책속의 책(a book within a book)'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모든 것은 그 자리에』의 3부는, 한 노인의 관점에서 집필된 일련의 에세이로 끝을 맺는다. 그의 열정은 어린 시절에 못지 않으며, 연륜과 경험에서 묻어나오는 지혜가 가미되어 있다.

☞ 출처: https://lithub.com/on-editing-oliver-sacks-after-he-was-gone/

※ 필자 빌 헤이스는 구겐하임 펠로십 논픽션 부문 수혜자이고, <뉴욕타임스>의 빈번한 기고자이며, 『인섬니악 시티』·『해부학자』·『5리터』·『불면증과의 동침』의 저자다. 그가 촬영한 사진은 <뉴요커>와 <뉴욕타임스>에 사용되었고, 고(故) 올리버 색스의 인물사진은 색스의 에세이 모음집 『고맙습니다』에 사용되었으며, 뉴욕의 거리사진은 『뉴욕은 어떻게 당신에게 상처를 주나』(블룸스베리, 2018)로 출간되었다. 올리버 색스의 유고집을 공동으로 편집했으며, 현재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태그  
#올리버 색스
 
#모든 것은 그 자리에
 
#양병찬
나도 봤어요 1
   
나도 볼께요 2
신고하기
목록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포닥나라  |  피펫잡는언니들  |  이책봤니?  |  이논문봤니?  |  설문통 소리마당플러스
홍보
암 정복 연대기
  과학은 어떻게 만들어지며, 신약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지도 한 장 없이 전쟁터에 나아가, 암과 싸웠던 과학자들의 이야기   암 정복 연대기 암과 싸운 과학자들   암과 싸우는 가장 큰 무기는 과학자의 매일 펼치는 평범한 용기 과학자의 대단함은 그들이 새로운 과학적 사실을 밝혀내고, 그것이 우리의 삶을 좀더 나은 방향...
회원작성글 bios781
 |  2019.11.12 16:57  |  조회 3640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1
서평
팩트풀니스
“나의 마지막 메시지를 기억하세요. 불가능하게 보이는 것도 가능합니다.”  2007년 TED 강연에서 의사이자 통계학자인 한스 로슬링은 극도의 빈곤 국가가 그 빈곤을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여러 데이터를 통해 보여준다. 그는 셔츠를 벗고 마치 서커스를 하는 사람처럼 자신의 철검을 높이 들었다. 족히 1미터는 넘어 보이는 철검을 망치로 두들긴 후, 단단한...
회원작성글 BRIC
 |  2019.11.04 09:37  |  조회 4630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3
홍보
바이러스 - 우리가 알아야 할 지구의 숨은 권력자, 101가지 바이러스에 관한 모든 것
놀랍고 다양하며 때로는 아름답기까지 한 바이러스의 세계! 101가지 바이러스의 실체를 생동감 넘치는 사진으로 담아낸 ‘바이러스 백과사전’ 최근 급속도로 번져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우리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을 일으키는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는 현재로서는 마땅한 백신이 없는 무시무시한 존재다. 아프리카의 가축용 돼지에서 시작되어 현재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
회원작성글 sea
 |  2019.10.22 15:43  |  조회 4690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1
홍보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 책소개 2019년 9월 17일 첫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확진 판정이 나왔다. 이 책은 ASF라는 질병에 대한 해설과 대책, 아프리카 풍토병이 한국에까지 오게 된 사연, 지금까지 밝혀진 ASF에 대한 과학적 브리핑,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왜곡된 입장을 갖게 하고, 왜곡된 입장은 잘못된 판단을 하게 한다. 이 책은 대중이 정확한 판...
회원작성글 bios781
 |  2019.10.08 18:15  |  조회 3244
나도 봤어요2  |  나도 볼께요7
서평
친애하는 인간에게, 물고기 올림
물고기 박사 황선도의 현대판 자산어보 생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바다생물 토크 콘서트 (본 글은 BRIC 연재 '김재호의 생태에세이'에 올려진 글입니다)   어린 물고기 눈엔 하구 魚道가 무섭기만 하다 최근에 가을 전어를 정말 맛있게 먹었다. 생선이 이렇게 군침을 돌게 한다는 것에 깜짝 놀랐다. 그런데 과학적으로 밝혀진 전어의 성분을 보면, 가을에 유난히 전...
회원작성글 이탈
 |  2019.10.04 11:11  |  조회 4134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2
서평
구멍투성이 과학
학회나 출장을 가기 전에는 항상 바쁘다. 적어도 일주일을 자리를 비워야 하니 해결해야 하는 일들과 이미 예정되어 있는 실험들을 마무리 지어야 하니 더 바쁘다. 7월 말, 학회를 가기 전엔 우리 팀과 외부의 다른 기관과의 공동 실험을 시작하고 가야 했다. 그렇게 처음 계획했던 것처럼 계획에 맞추어서 모든 일이 딱 들어맞으며 좋으련만, 비행기를 타고 남반구에 도착해서 날아오는 이메일들은 무언가 잘 못...
회원작성글 BRIC
 |  2019.09.23 10:38  |  조회 4534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0
홍보
바쁜 전문가들을 위한 7가지 팁과 실전에 바로 쓸 수 있는 유용한 표현들
  “영어 공부를 하지 않았더라면 지금 제가 이룬 연구성과의 1/10, 아니면 그 이하의 업적에 그쳤을지도 모릅니다.”   저자는 세계 최초로 식도와 위장관, 눈물관 등이 협착되었을 때 쓰이는 치료형 금속 장치인 ‘스텐트stent’를 개발해 세계 최고 수준을 인정받는 명의다. 2008년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인상...
회원작성글 허원북스
 |  2019.09.11 16:43  |  조회 5517
나도 봤어요4  |  나도 볼께요2
추천요청
콜라겐 추출 및 정제에 관하여 공부할 때 도움되는 서적
   안녕하세요 ! 최근 스타트업 회사에 입사하여 콜라겐 추출 실험을 진행 중인 신입 입니다.   학부 석사전공은&nb...
회원작성글 씨오션
 |  2019.09.11 16:22  |  조회 2509
홍보
동물의 운동능력에 관한 거의 모든 것
동물의 운동능력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동물 운동선수들의 극한 세계를 탐색하는 매혹적인 이야기  물고기가 어떻게 폭포를 거꾸로 올라가고, 뱀이 기어가고, 치타는 그렇게 빨리 달리는 걸까? 자연선택과 성선택은 동물의 세계에서 다양한 진화와 놀라운 운동능력을 만드는 원천이다. 통합생물학자 사이먼 레일보는 수십 년간의 수행 연구를 통해서 달리기, 점프하기, 날기, 물기, 타고 오르기,...
회원작성글 sea
 |  2019.09.04 11:41  |  조회 3431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홍보
사람일까 상황일까 _ 태도와 행동을 결정짓는 숨은 힘
“내 인생을 바꾼 책” _ 말콤 글래드웰, 《아웃라이어》 저자     사회적 상황의 힘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사회심리학 고전 《생각의 지도》 리처드 니스벳, 스탠포드대학교 심리학자 리 로스가 알려주는 ‘세상을 정확하게 바라보는 법’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대학 교정을 가로질러 걷고 있던...
회원작성글 푸른숲
 |  2019.08.25 22:52  |  조회 5178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2
서평
은여우 길들이기
“시베리아 애완 여우 판매” 금액: $8,900 (배송 및 통관비 포함, 백신접종 완료) 종류: Silver/black, Red, Platinum, Georgian White 2007년 러시아의 시베리아에 살던 여우 한 마리는 최초로 미국 플로리다의 한 가정으로 “애완용”으로 판매가 되었다. 개 처럼 목줄을 메달고 플로리다 해...
회원작성글 BRIC
 |  2019.08.14 09:47  |  조회 7318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2
홍보
올리버 색스, 『모든 것은 그 자리에』
빌 헤이스의 편집후기: 열세 권의 책을 쓴 올리버가 출판 사랑을 멈추지 않은 이유 ▶ 올리버 색스는 글쓰기(여기서 '글쓰기'란 '쓰는 행위' 일체, 즉 만년필에 잉크 채우기, 노란색 리갈패드 새로 시작하기, 떠오르는 단어 크게 중얼거리기를 의미한다)를 사랑한 것만큼이나, 출판을 사랑했다. 올리버에게 출판은 삶의 커다란 일부였다. 평생 동안 열세 권의 책과 수백...
회원작성글 Homo run..
 |  2019.08.12 07:26  |  조회 5276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2
홍보
어떻게 뇌를 고칠 것인가-알츠하이머 병 신약개발을 중심으로
『어떻게 뇌를 고칠 것인가』   호기심을 채워주는 교양을 넘어서는, 새로운 과학 저널리즘 과연 생명과학은 알츠하이머 병을 고칠 수 있을 것인가   과학 독자가 원하는 것은 교양인가 소통인가 보통 사람은 과학을 얼마나 알아야 할까? 아니 과학은 보통 사람에게 자기를 얼마나 소개해야 할까? 넓고 넓은 과학의 세계에서 어떤 분야의, 어떤 내용을, 어떤...
회원작성글 bios781
 |  2019.07.09 13:22  |  조회 5833
나도 봤어요10  |  나도 볼께요6
서평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나는 소설을 읽는 것에 두려움이 있다. 소설을 읽을 때마다 주인공의 상황에 잘 이입이 되지도 않고, 인물들간의 첨예한 대립 등 상황을 상상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런 문제때문에 나는 좋은 소설을 여러 권 추천을 받아도, 매번 몇 페이지만 읽다가 덮는 일들이 많았다. 이런 내가 동아시아 출판사에서 진행한 서평이벤트에 무작정 응모한 것은 출판사에게 큰 민폐를 일으킬까봐 걱정도 많이 했었다. 나는 이...
회원작성글 BRIC
 |  2019.07.03 10:58  |  조회 6497
나도 봤어요2  |  나도 볼께요2
홍보
미리 가본 내일의 도시
  북 트레일러 영상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BQj5k2bcUAc   네이버 포스트 (신간 미리보기) 1.사물인터넷으로 인간과 소통하는 스마트홈 https://c11.kr/7m36 2 머릿속의 칩으로 단 몇 분 안에 외국어를 마스터할 수 있다면? https://c11.kr/7m38 3.인공장...
회원작성글 zxdd
 |  2019.06.03 11:59  |  조회 3809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서평
내가 태어나기 전 나의 이야기
인간은 누구나 그 처음의 시작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것은 또 다른 생명체의 처음을 자신의 몸에 품게 된 어머니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첫 아이를 임신했을 때, 눈으로 보이거나, 느껴지지 않는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하루에 두 번씩 임신 테스트를 했다. 매직아이 수준으로 보이던 진단선이 날이 갈수록 진해는 것을 확인하고서야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한 의심이 사라져 갔고, 폭풍 입덧이 시작되는 순간,...
회원작성글 BRIC
 |  2019.05.30 10:08  |  조회 4516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3
서평
사람의 자리 - 과학의 마음에 닿다
0. 사실 이 책에 대해서 서평을 쓰려는 생각은 원래 없었다. 일단 일차적으로 대학원 때 이 책의 저자이신 전치형 선생님으로부터 참 많은 것을 배웠기 때문에 나 따위가 불경하게 어떻게 선생님이 쓰신 책에 서평을 쓰나(...) 같은 생각을 했었기 때문이고, 두번째로는 사실 선생님이 이미 여기저기 기고하신 글들 대부분을 읽어보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안 읽어봤던 글은 없었던 것 같다....
회원작성글 BRIC
 |  2019.05.29 13:45  |  조회 4319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서평
경제학은 어떻게 과학을 움직이는가
책을 읽는 동안 과학사회학자인 로버트 K 머튼이 떠올랐다. 약 70년 전 과학사회학에서는 머튼 등의 학자들이 과학자 사회의 작동 원리와 내부 보상 체계 등을 연구했다. 이 책과 비슷한 논의가 이루어졌던 셈이다. 그러다가 사회구성주의가 등장하면서부터는 과학사회학의 주류 주제가 ‘과학자 사회’보다는 ‘과학 지식이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것인가’로 변화했고 21세기...
회원작성글 BRIC
 |  2019.05.21 10:25  |  조회 4538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0
서평
세계사를 바꾼 10가지 약 - 인류 역사는 '질병과 약의 투쟁 역사'다!
연구소 내에 “Take-back Drug Day”라는 포스터가 하나 붙었다. 전국적으로 매년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사용하지 않은 처방약을 수거하는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DEA) 행사에 동참하는 포스터였다. DEA 의 집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Take-Back Day를 통해서 수거한 처방약은 900,000 파운드에 달했으며, 2010...
회원작성글 BRIC
 |  2019.04.23 10:13  |  조회 10708
나도 봤어요2  |  나도 볼께요0
홍보
아름다움의 진화: 연애의 주도권을 둘러싼 성 갈등의 자연사
진화론에 관한 책은 많지만, 키플링이 말하는 '그저 그런 이야기들' 류類의 책이 범람하는 세태를 감안할 때 가려읽는 안목이 절실히 요망된다. 그와 관련하여, 역자는 과학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의 시각을 바로잡는 책을 두 권 번역하여 출간한 적이 있다. 하나는 케빈 랠런드의 『센스 앤 넌센스』이고, 다른 하나는 조너선 와이너의 『핀치의 부리』인데, 공교롭게도 둘 다 도서출판 동아시아에서...
회원작성글 Homo run..
 |  2019.04.15 07:02  |  조회 6344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3
처음 이전  01 02 03 04 05 06 07 8 09 10  다음 끝
소리마당 PLUS
포닥나라
AKIA Publication Award for Postdocto...
미국 포닥 지원부터 최종 결정까지 그 여정 [12]
피펫잡는 언니들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69. 슬기로운 미쿡 생활(32) -...
[엄마과학자 창업도전기] 19화. 처음부터 조직이 필요하다
이 책 봤니?
[홍보] 누리호, 우주로 가는 길을 열다
[홍보] 마음의 중심이 무너지다 - 조현병 환자의 우정, 사랑, 그리고 법...
이 논문 봤니?
[요청] 논문 입문자 추천 [1]
[요청] 면역학과 바이러스학 [3]
연구비 부정신고
위로가기
커뮤니티 홈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