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의경우 학부상관없이 뽑습니다. 물론 MD를 더 쳐주지만 MD가 잘 가나요 다 임상하지..
전 기생충배우면서 정말 기생충은 안해야지 했는데... 재미가 없어서
역시 사람 취향은 다 다른가봅니다
(2014-12-29 19:48)
공감0비공감0
비전은 있을까요??
이연희 (2014-12-29 15:05)
공감0비공감0
충북대 기생충 연구소재은행 사이트 한번 방문해 보세요.
(2014-12-29 19:47)
공감0비공감0
비전은 있을까요
ㅎㅎ (2014-12-29 17:23)
공감0비공감0
의대 기초연구실에서는 일반학생들도 뽑아요. 졸업하면 의학석사이긴 하지만 의사는 아니죠
(2014-12-29 19:47)
공감0비공감0
비전은 있을까요
ㄷㄷㄹ (2014-12-29 20:20)
공감0비공감0
여기가 생명과학 사이트이긴하지만, 기생충 하는 사람이 많은것도 아니고... 기생충 실험실에 있는 사람에게 물어보는게 제일 빠를겁니다. 일단 석박사 과정학생이 있는 실험실이라는게 연구비가 나온다는거니까 할만하다는 것일거고... 좀 더 알고싶으시면 거기 실험실에서 나오는 논문좀 읽어보시고, 그런후에 교수님께 메일드려서 상담을 받아보신다던지... 솔직히 그 전공아니면 잘 모르지요
(2014-12-29 21:07)
공감0비공감0
아 넵 감사합니다!
(2014-12-29 21:07)
공감0비공감0
아 넵 감사합니다!
히카루 (2014-12-30 18:45)
공감0비공감0
지금 거미로 분자계통 및 생태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기생충의 경우 보통 의과대학에서 많이 하고 있지만, 수의대나 농생대(농업생명과학대학)의 경우도 동물이나 식물에 기생하는 기생충을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기생충도 한종류만 있는것이 아니라 크게는 외부기생충, 내부기생충, 그리고 더 자세하게는 문(Phylum)으로 나뉘어서 연구하는 연구실도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기가 기생충 중에서도 어떤 기생충을 할 것인지 논문을 많이 읽어보고 고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