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요즘 한참 공부하고 있는데, CPE에 대해 갑자기 혼란이 와서..
CPE가, 병원체가 세포내에 살다가 세포를 터트리고 나오게 되면서 생기는거잖아요. 예를들어서 mycoplasma나.. adenovirus나.. influenza나..
그런데 저는 처음 두개(mycoplasma, adenovirus)같은건 예외로 생각하고, enveloped virus만이 CPE를 가진다고 생각했거든요. 세포 빠져나올때 세포막을 가져나오니까 죽을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서 그랬나..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Non-enveloped virus는 증식할때 아예 세포를 터트리게 되잖아요. 세포막 이용해서 budding해서 나오는게 아니니까. 그럼 이 경우에 오히려 CPE가 더 잘보여야 하지 않나요?
위키나 구글링을 아무리 해봐도 이 이상 알 수가 없어서..
질문 정리하자면, 1. enveloped-virus 에서 대개 CPE가 생기는지, 2.세포를 터트리고 나오는Non-enveloped virus에서 CPE가 더 잘보여야하는게 아닌지. 입니다.
바쁘신 시간 내서 읽어주신점 감사드리며,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