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ccurrence of these genetic and epigenetic defects in both NT-ESCs and iPSCs suggests that they are inherent to reprogramming, regardless of derivation approach.
NT-ESCs와 iPSCs에서의 유전적, 후성유전적 결손 현상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줄기세포를 유도하느냐와는 상관 없이/ 내제된 reprogramming에 의해서 일어난다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leben (2014-12-04 16:44)
공감0비공감0
NT-ESCs와 iPSCs 모두에서 이러한 유전적이고 후성유전적인 결손들이 나타나는 것은 이 결손들이 줄기세포 재프로그램 과정에서 유도 방식과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임을 의미한다.
하루카이님 번역도 의역으로 보면 의미는 맞습니다만, ㅎㅎ님 번역처럼 '두 가지 세포 모두에게 나타나는 현상'에 방점이 있습니다.
ㅇㅇ (2014-12-04 19:32)
공감2비공감0
모두 NT-는 ESC에서 이러한 유전자와 후성 유전 적 결함의 발생 및 iPSCs들은 상관없이 유도 방식의 재 프로그램에 내재 제안... 역시 구글 이놈은 시크해...
핵산 (2014-12-05 02:38)
공감0비공감0
이러한 유전과 후 성적인 두 NT ESCs 결함의 발생 그리고 Ipsc 나왔다 그들이 파생 방법에 프로그래밍 된.... 역시 Bing translator는 엿같음.
핵산 (2014-12-05 02:42)
공감0비공감0
구글번역: 영어>일어>한국어 순으로 번역을 하면 꽤 그럴듯함. 일본어 번역 자료가 방대하여 영어를 일어로 바꾸고 이를 다시 한국어로 바꾸면 좀 더 자연스러워지죠. 원글님껜 죄송 ^^
두 NT- ESC는 이러한 유전 및 에피 제네틱 결함 의 발생 그리고 iPS 세포는 그들이 상관없이 도출 방법의 재프로그래밍에 고유임을 시사하고 있다.
하루카이 (2014-12-05 08:59)
공감0비공감0
제가 문장의 흐름을 위해 약간 의역한 면이 없지 않습니다. 다만, 제가 말씀드리고 하는 것은 영어의 단어 의미가 비슷하지만 받아들이는 독자에 의해서 그 의미가 많이 바뀔 수도 있습니다. 일례로, suggest 와 imply 경우입니다. 결과나 가설을 주장할 때 논문 작업 시 많이 출현하는 단어입니다. 한국어로 의미를 풀어 쓰면 제안하다(시사하다), 의미하다(암시하다)입니다. 한국어로 풀어쓰면 그 두 의미의 차이가 많이 희석됩니다. 따라서 영어는 영어로 이해하는게 가장 좋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리뷰어들 문장에 단어의미가 약간이라도 애매하거나, 반복사용하는 것에도 의미를 두고 문장을 수정하면 어떻게 좋지 않겠니? 제안하시는 분이 많습니다(뭐 제가 작문을 잘 못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원어민 영문교정 받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러니 같은 영어를 태어날 때부터 쓴 사람들끼리도 의견이 많이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올바른 영어 문장에 올바른 영어 단어를 쓰기 위해서는 영문학을 배워야지. 우리는 영문학 배우려고 과학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자신의 생각을 독자들에게 올바르게 전달하려고 노력하면 됩니다.
위의 문자에서도 both라는 것이 모두를 의미하지만 both 를 우리 말에서 굳이 모두를 다 넣어주지 않아도 됩니다. 왜냐면 두 객체가 있을때 연결사를 한글을 대체해서 넣어주면 됩니다.
'A cell 과 B cell 모두에서' 의 문장과 'A cell 과 B cell 들에서'
모두, 들, 둘다 복수를 의미함으로 굳이 저는 모두를 붙이지 않고 문장의 흐름이 부드럽게 만들려고 했다가 올바른 번역에 실패를 했지요.
영어를 영어로 이해하는 연습을 더 해야겠습니다. ^^ 그럼 모두 오늘 불금 잘보내세요 하하하(누군가에겐 불금불금불금이겠지만;).
ㅁㄴㅇㄹ (2014-12-05 10:36)
공감0비공감0
이거 해석을 번역기로 돌려야하면 논문은 어떻게 읽나요... 번역기로 돌린다는건 둘째치고 시간 걸려서 뭐 하겠습니까? 걍 영어공부를 먼저 하는게 시간 아끼는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