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같은 dna로 prep한것 같은데 enzyme cut했나요? 2조는 샘플이랑 마커랑 같이 내렸나요? 마커랑 패턴이 똑같네요 kit 사용했나요? 그냥 시약 제조한걸로 했나요?
쁑 (2014-11-24 18:41)
공감0비공감1
네 1조부터 6조까지 모두 같은 dna사용했습니다. 제한효소처리는 안하고 그냥 전기영동했고요 2조의 샘플이 뭔가 문제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샘플과 마커를 같이 내리지는 않았고요 시약제조한 것이 아니라 kit를 이용했습니다
하루카이 (2014-11-24 21:17)
공감3비공감0
EtBr 을 넣은 DNA loading buffer를 제조한 것을 쓰지 않고 만들어져 있는 buffer를 DNA 샘플에 1/6 dilution 해서 쓰셨겠죠. 근데 2조는 loading buffer 대신에 DNA ladder marker를 섞어서 loading 한 샘플이 있네요 초보적인 실수를 했네요. 학교 실험이 좀 그렇죠. E.coli를 키워놓고 prep 하기 전까지 term이 존재한 것으로 보이네요. prep 후에 전기영동을 하셨구요 하지만 이 prep 한 샘플도 loading 한 후 잘 보기 위해 dilution을 한 것으로 보이네요. 1/x 로 희석하셨나요? 지금 보다 1/5 정도 덜 희석하면 밴드가 더 이쁘게 나올 듯 싶네요 E.coli 키워놓고 일주일 동안 냉장고에 방치하셨다면, E.coli 사망에 이르셔서 plasmids가 분해된 것으로 보이고요 몇몇 조에서 2조의 경우는 loading 실수를 하셨고요. band가 희미하게 뜬 것은 dilution 배율을 잘못 맞춘 것이고, band의 DNA 량 (밝기 차이)가 다른 이유는 E.coli 마다 자라는 속도가 다르니 plasmids 량이 달라서 그런 것이고, 다른 이유는 일루미네이터 보정 소프트웨어로 값만 바꿔줬으면...(아 혹시 이거 일루미네이터 판에 그냥 올려놓고 스맛폰으로 찍은듯? 초점 나간 것으로 보아...-_-;)
제가 알 수 있는 것은 이 정도..(왜냐 ladder marker가 몇 bp짜리인지 모르니, plsmids가 몇 bp인지 모를 뿐더러, plasmid는 대부분 circular form일때 coiled-coil 이나 super coiled-coil form이므로 정확한 size를 확인 할 수 없음메)... 그럼 초보자님 수고하시고, 기본적인 자료는 google에 있고, 참고문헌 딸린 web 자료를 써야 신뢰 가능하오니, googling 열심히 하시고요 여기는 소리마당이고, 이런 내용은 실험 Q&A에 올리면 좋겠(지만 답변이 늦으므로 잘한 선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