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
|
B 키트 |
양성 |
의양성 |
음성 |
A 키트 |
양성 |
|
|
|
의양성 |
|
|
|
음성 |
|
|
|
|
B 키트 |
양성 |
의양성 |
음성 |
A 키트 |
양성 |
|
|
|
의양성 |
|
|
|
음성 |
|
|
|
두가지 진단법의 일치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kappa value를 써볼려고 합니다. 의학통계는
잘몰라서 검색하다보니, cohen's kappa value 구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던데, 그게 1)의 경우에는 적용할것같더라구요. 근데 2)처럼 변수가 3개씩 되면 안되는 것 같은데 1)의 경우를 cohen's kappa value로 써도 되는지 2)의 경우엔 어떤 kappa value를 써야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
이렇게 두 가지 경우에 각각 어떤 kappa value를 계산하면 되는 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의학통계를 거의 잘모르는 데, cohen's kappa value는 계산해주는 사이트가 있더라구요.
1)의 경우는 적용가능한 것 같은데, 2)처럼 변수가 3개씩 되는 경우엔 어떤 걸 적용해야하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