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한국요꼬가와전기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주재열 교수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1033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Funky Science] 치매치료제의 희망? 베타아밀로이드 증폭 가설과 항체 치료제 레카네맙 그리고 아두카누맙
의학약학 살덩이 (2023-01-10)


2022년은 베타아밀로이드 증폭 가설이 다시 재조명된 해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치매 치료제인 아두카누맙에 이어 레카네맙이 우수한 임상결과를 보였기 때문이죠!

대체 베타아밀로이드 증폭 가설은 무엇이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항체치료제는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일까요!!

3분 카레보다 더 빠른 펑키 사이언스!

궁금하시면 1원도 안 드는 클릭 지금 고고고~

*본 영상은 1월3일 게재된 영상으로 2023년 1월 6일 FDA 가속 승인을 받은 레카네맙 관련 최신 상황을 내포하고 있지 않으니 해당 부분 참고하여 영상 시청 부탁드립니다. 추후에 임상 결과와 관련한 내용으로 영상 제작하여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추천 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살덩이(필명)

안녕하세요 저는 면역학을 한국에서 석사 졸업 후 Science communication의 본고장인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Science communication & Public engagement 전공 후 현재 자유로운 영혼을 실현하고 있는&...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보기 >
[Funky Science] 세포의 자살에는 이유가 있다.
안녕하세요. 오늘 업로드한 영상은 세포의 자살에는 이유가 있다! 인간에게 자살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행위인데...세포 수준에서는 이유 있는 자살은 인간의 성장과 생존에 매우 중...
[Funky Science] 미래엔 굴도 배양하나요? 양식굴, 자연산 굴 말고 과학자가 만든 배양 굴
굴요리중 생굴을 좋아하시나요? 굴전을 좋아하시나요? 저는 굴전을 좋아합니다. 그럼 질문을 바꿔보죠? 양식해서 만든 굴이 좋으세요? 아니면 과학자가 만든 배양굴이 좋으세요? 먼 미래...
[Funky Science] 이중항체 T세포와 암세포의 연결고리
항체는 일반적으로 지정된 한 항원만을 잡는 것이 일반적이죠 그런데 인간이 가만히 있는 종자들이 아니다 보니 이런 이점을 2배로 만들기 위해 고안해낸 것이 있는데 이름하여 이중항체!...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