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퍼킨엘머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분류학적 난제 해결을 위한 계통유전체학(Phylogenomics) 연구동향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3131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유전자가위로 면역세포 편집, 암 진행 멈췄다
의학약학 사이언스타임즈 (2022-12-12)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는 원하는 부위의 유전자를 정교하게 잘라내고, 동시에 원하는 유전자를 삽입할 수 있는 유전자 편집 기술이다


원하는 부위의 유전자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암 치료가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 유방암‧결장암 등 고형암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임상시험에서 5명의 환자가 암 세포 성장이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맞춤형 치료에 성공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연구진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지난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면역세포 교정해 암세포 탐지 능력 높여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는 ‘캐스9(Cas9)’이라는 효소로 마치 가위질을 하는 것처럼 특정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우선, 실험에 참가한 환자들의 혈액과 암 세포를 채취해 암 세포에서는 발견되지만, 혈액에는 없는 돌연변이 단백질들을 찾았다. 돌연변이 단백질은 환자마다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후 환자의 면역세포인 T세포를 채취하고, 이 돌연변이 단백질들을 더 잘 찾아 죽이도록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유전적으로 변형시켰다. T세포의 암세포 탐지 능력을 높여 치료효과를 높이자는 전략이다. 이후, 편집된 T세포를 다시 환자의 혈액에 주입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를 이용하여 면역세포인 T세포가 암 세포를 더 잘 찾아가도록 조작했다


최대 3개의 돌연변이 표적을 가진 T세포들은 주입 후 환자의 혈액에서 순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 세포 근처에서는 조작하지 않은 세포보다 더 높은 농도로 존재했다. 참가자 16명 중 5명에서 암 세포 성장이 멈춘 것으로 확인됐다. T세포를 주입 한 달 뒤에 진행된 검사에서 암세포가 더 이상 자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세포가 손상되지도 않았다. 참가 환자 중 2명은 고열, 오한 등의 부작용을 보였지만 신속하게 회복되었다.

이번 연구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은 양의 T세포를 주입했음에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교신저자인 안토니 리바스 UCLA의대 교수는 “인간의 면역 체계는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정상 세포와 구별할 수 있는 특정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며 “하지만 이 수용체는 모든 환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이용하면 개인 맞춤형 암 면역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면역 전문가인 와심 콰심 영국 유니버시티컬리지런던(UCL) 교수는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라는 첨단기술을 결합해 환자 자신의 면역세포가 암 세포에 더 잘 대항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완성했다”며 “임상 반응은 제한적이었지만, 적어도 고형암에서도 맞춤형 암 치료가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주입하는 T세포의 양을 늘려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치료 까다로운 고형암, 면역치료 가능성 열어
유전자편집 T세포를 이용한 암 치료법은 이미 일부 혈액암과 림프암 치료에 쓰이고 있다. ‘카-티세포(CAR-T) 요법’이란 방식으로, 채취된 T세포에 암세포에만 반응하는 유전자를 첨가한 다음 변형된 T세포를 다시 환자에게 투입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뇌종양이나 췌장암과 같은 고형암에서는 카-티세포 요법을 통한 치료가 어려웠다. 카-티세포는 암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단백질에만 작용하는데, 고형암에는 이 단백질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기존 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구원투수로 여겨진다.
 

유전자 편집 T세포(파란색)과 암 세포(보라색)을 공격하고 있는 모습


이번 연구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인체에 적용해 본 첫 시험은 아니다. 지난해 미국 펜실베니아대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 조작한 T세포로 혈액암 환자 3명의 치료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연구에는 표적항암제와 화학항암제가 들지 않는 중증 암 환자 3명이 참여했다. 펜실베니아아대 연구진은 환자의 면역세포를 추철한 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 면역반응을 중지시키는 유전자 3개를 제거했다. 이후 조작된 세포들을 환자에게 다시 주입했다.

시험 결과 편집된 세포들이 최소 9개월 이상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티세포 요법의 경우 편집된 면역세포의 생존 기간은 2개월에 불과하다. 또한, 몸에서 살아남은 면역세포를 몸 밖으로 빼내도 계속 암 세포를 없애는 능력을 가진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암 분야 전문가인 아스테로 클람파차 영국 암연구소 박사는 “환자의 T세포를 더 잘 찾아 죽이도록 유전적으로 변형한 다음 환자에게 다시 주입하는 전략은 혈액암에서 놀라운 성공을 거뒀었고, 이번에는 고형암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안전성 측면에서도 고무적이지만 실제 의료 현장에서 적용되려면 막대한 비용, 노동 그리고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예슬 리포터 ㅣ 저작권자 2022.12.09 ⓒ ScienceTimes(원문출처)

  추천 3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사이언스타임즈

사이언스타임즈에서 소개되고 있는 과학기술, 과학정책 등 과학계의 주요 이슈를 선별하여 소개합니다.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보기 >
초미세먼지, 폐암 발병률 높인다
언제부턴가 날씨 예보에 미세먼지 농도가 함께 제공된다. 코로나19 팬데믹 전에도 미세먼지가 심각한 날이면 마스크를 쓰고 거리에 나오는 사람들을 꽤 볼 수 있었다. 앞으로는 더 경각...
새로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도나네맙의 임상 3상 성공
치매 치료제의 구원투수 레카네맙의 첫 신호탄 인류의 첫 치매 치료제는 2021년 시작되었다.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현지시각으로 2021년 11월 7일, 미국의 제약사 바이오...
하얗게 변한 머리카락, 모낭 속 줄기세포야 힘을 내!
머리카락을 하얗게 탈색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젊은 세대들이 늘고 있다. 그들의 ‘멋진 은색’ 모발은 최신의 유행이라지만, 나이가 들면서 희끗희끗해진 머리카락을 원 상태로 되돌리...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