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GemPharmatech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주재열 교수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2588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논문 쓰기(4) Reference 작성하기
종합 피치 (2022-12-07)

논문을 쓰면서 많은 논문들을 읽고, 인용하게 되는데 여러분은 어떻게 그 논문들을 기억하실 건가요?

정말 옛날에는 논문을 하나하나 저장하고 프린트하면서 출처를 작성했다고 한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Reference들을 자동으로 모아주고, 저널지의 형식에 맞게 작성해 주는 좋은 프로그램들이 생겼답니다! 

제가 작성했던 하나의 리뷰 논문을 찾아보니 한 논문을 작성하는데 112개의 논문이 인용되었더라고요, 물론 작성할 땐 그 이상의 논문들을 읽었을 것입니다. 오늘은 참고 문헌을 관리하는 프로그램들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제가 소개할 소프트웨어는 ‘EndNote’라는 패키지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각종 학술자료의 정보가 온라인으로 연동 및 저장되어 통합적으로 관리 가능하게 해줍니다. 가장 큰 장점은 EndNote 사용자들끼리 호환이 되어서 파일을 쉽게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점과 논문 작성하다가 투고할 저널이 변동되어도 형식을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EndNote를 시작 전에는 Library를 먼저 생성하여, 작성하고 있는 파일에서의 Reference에 대한 raw 파일이 저장되게 합니다. Library를 만들게 되면 .Data와 .enl 파일이 만들어지는데, 워드 파일을 수정할 때마다 백업 개념으로 함께 저장을 해주면 됩니다.

EndNote에서 참고 문헌을 불러올 때는 제목을 직접 검색해도 무관하나, 띄어쓰기나 대소문자로 가끔 오류가 생길 수 있음으로 저는 보통 PMID나 PMCID를 이용하는 편입니다. (PMID 외에도 DOI나 Abstract으로도 쉽게 검색 가능합니다.)
 

Reference 작성하기


위 논문을 예로 EndNote에서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ference 작성하기


이렇게 PMID를 설정해 놓고, 검색을 합니다. 
 

Reference 작성하기


논문마다 정해진 PMID가 있기 때문에, 검색 결과가 당연히 1건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면 해당 Reference를 Library에 저장하고, Insert(Pacesa et al., 2022)를 누르면 바로 아래에 이렇게 첨부가 됩니다.

여러 논문을 언급하면 언급된 순서대로 Reference를 누적해서 작성해 줍니다. 

Pacesa, M., Lin, C.H., Clery, A., Saha, A., Arantes, P.R., Bargsten, K., Irby, M.J., Allain, F.H., Palermo, G., Cameron, P., et al. (2022). Structural basis for Cas9 off-target activity. Cell 185, 4067-4081 e4021. 10.1016/j.cell.2022.09.026.

또한 논문에서 Cite-Export 부분을 눌러 RIS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바로 EndNote로 연동된다는 꿀팁이 있습니다.
 

Reference 작성하기


Pacesa, M., Lin, C.H., Clery, A., Saha, A., Arantes, P.R., Bargsten, K., Irby, M.J., Allain, F.H., Palermo, G., Cameron, P., et al. (2022). Structural basis for Cas9 off-target activity. Cell 185, 4067-4081 e4021. 10.1016/j.cell.2022.09.026.

위에 작성한 형식은 Cell 저널에서 사용하는 형식입니다.
 

Reference 작성하기


다른 저널지의 형식으로 작성해야 한다면, 하나하나 형식을 바꿀 필요 없이 Style-Select Another Style을 눌러 내가 투고하고자 하는 저널지를 찾으면 됩니다.
 

Reference 작성하기


해당 저널지의 형식을 찾지 못할 경우에는 직접 찾아서 다운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EndNote 홈페이지에서 직접 검색을 하거나
 

Reference 작성하기


저널지 홈페이지에서 논문 작성 규정에 따로 첨부를 해두기도 합니다.
 

Reference 작성하기


어때요 참 편리하죠?
공동작업으로 논문을 작성 및 수정할 때, EndNote 유저라면 서로 편하게 논문을 인용하고 수정할 수 있답니다. 

EndNote는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참조 문헌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많은 기관과 학교에서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알 고 있고, 사용법에 대한 설명도 종종 있는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학교 도서관 홈페이지를 참고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EndNote 외에는 RefWorks, Mendeley가 있습니다. 각 특장점을 굳이 비교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우리 학교(기관)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확인하고, 목적에 맞게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Reference 작성하기


 

  추천 5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피치 (필명)

안녕하세요! 저는 연구실 생활 6년 차이자 박사과정에 있는 피치라고 합니다. 제가 학부생일 때 이런 정보를 알았더라면, 나한테는 왜 이런 말 해주는 선배가 없었을까? 하는 기분으로 TMI 이야기로 풀어보려고 합니다! 부디 예비 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이 되었...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보기 >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대학원이야기를 마치며
저도 아직 대학원생이고, 제가 아는 것이 모두 정확하고 맞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많은 대학원생이 힘들지 않았으면 좋겠고 조금이라도 제가 아는 것은 알려주고 도와주고 싶은 마음에...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너무 많은 계획서들 (IRB, IACUC, IBC, LMO)
대학원에 와서 정말 많고 많은 서류와 승인계획서들과 끊임없이 싸우고 있는 것 같아요 ㅠㅠ_ㅠㅠ 승부는 아직도 정해지지 않았다는… 연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모든 계획서에 승인을 받...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학회 탐방기
제가 석사학위를 하는 동안에는 거리두기가 없었던 코로나 이전의 시대라서 많은 학회에 참석할 수 있었습니다. 먼저 대학원생이 학회에 참여하는 가장 대중적인 방법에는 논문의 초록을 제...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6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회원작성글 만박사  (2022-12-10 23:21)
1
하나 하나 캡춰하여 정성스럽게 글 작성하셨네요......엔드노트가 유료프로그램이라. 요즘은 zotero라는 무료도 사용하는것 같아요.
회원작성글 jypharm  (2022-12-11 00:00)
2
이제부터 엔드노트를 이용해봐야겠어요:)👍👍
회원작성글 피치  (2022-12-11 00:09)
3
@만박사

안녕하세요 피치입니다^^

맞아요, 그렇지만 보통 학교나 기관에서 Endnote 제공은 다 해주는 것 같더라구요!
저는 학교도서관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머 zotero라는 건 제가 접해보지 못한 거네요!
시간되면 참고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회원작성글 피치  (2022-12-11 00:10)
4
@jypharm

안녕하세요 피치입니다^^

JYP이신가 했네욤! Endnote가 가장 전 편리하더라구요
Endnote 사용에 도움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
회원작성글 Steady  (2022-12-13 09:58)
5
단계별로 차근차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익숙치 않은 프로그램 다루기가 참 쉽지가 않던데.. 미래 논문작성자들한테 도움이 많이 되길 바랍니다.
회원작성글 피치  (2022-12-15 03:23)
6
@Steady

안녕하세요 피치입니다 ^^

맞습니다. 좋은 프로그램들은 많은데, 하나하나 배우고 적응하기가 어렵네요 ! ^^
모두 응원합니다~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