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주재열 교수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3392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논문 쓰기(1) 통계
종합 피치 (2022-10-26)

논문쓰기(1) 통계

안녕하세요. 피치입니다! 논문을 쓰려고 하면 정말 하늘이 무너질 것 같고 두뇌회전은 점점 둔화되게 됩니다. 저도 아직 논문이 낯설고 시작하기가 너무 두려운 존재랍니다. 그렇지만 또 막상 시작해보면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슉슉 쓰고 있는 모습이 보일 거예요. 논문은 제출하는 그 순간에도 다 썼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아요. 리비전 이 메일을 받는 순간 이제 진짜 ‘아, 나  논문 쓰고 있구나!’를 깨닫게 되는 것 같아요.

전공을 불문하고 통계는 누구에게나 어려운 부분입니다(피치도 아직 어려워요.). 보통 연구 결과를 표로 정리하거나 통계적으로 신빙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통계라는 분석 방법을 꼭 거치게 됩니다.

‘통계의 정석은 SPSS’라고 말해도 될 정도로, IBM에서 만들어낸 최고의 분석 Tool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처음 접하면 당연히 어렵지만 한번 배워 두면 이것만큼 통계를 다루기 간편한 건 없습니다. SPSS는 전공을 불문하고 많은 연구에서 쓰이는 통계프로그램이라서 그런지 학교에서도 종종 워크숍이나 강연이 있으니 잘 찾아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방대한 양의 임상 데이터나 같은 데이터를 여러 항목으로 분석해야 할 때 저도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요, 엑셀 파일로 정리하여  SPSS로 바로 파일을 읽어서 분석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10명의 사람을 성별에 따라서 나와 키에 대해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SPSS는 숫자만 읽기 때문에 성별에서 1=남자, 2=여자로 입력하였습니다. 성별을 독립변수로 두고 분석했을 때 나오는 평균과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논문쓰기(1) 통계


또한 요즘에는 코딩을 손쉽게 배울 수 있어서 R이라 Python으로 많이 분석하는 추세입니다. 저도 R을 구글링 하면서 공부하였는데 생각보다 비전공자가 접근하기 괜찮다고 생각해서 R을 독학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가 분석하고 싶은 결과와 비슷한 유형이나 원하는 분석 방법의 코드를 복사해서 조금만 응용하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드를 조금만 가공하면 나의 데이터에 적용하기 쉬워서 비전공자 친구들도 충분히 독학할 수 있습니다!

저는 보통 결과를 바로 그래프로 만드는 작업에 익숙해져 있다 보니 GraphPad Prism이라는 프로그램에서 그래프를 그리면서 통계분석도 한 번에 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도 말했지만 저는 Prism을 강력히 추천하는 사람으로서, 제가 사용하고 있는 통계 방법을 간단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건강한 성인 10명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10명의 혈액 AST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논문쓰기(1) 통계


p 값은 유의 확률로, 두 그룹 간의 비교가 얼마나 신뢰성을 주는지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P <0.05 이하면 유의한다고 표현하면서 그래프 위에 * 표시를 하게 되고, **는 p <0.01을 뜻합니다. 본 그래프에서 T-test 검정을 통해 P values가 0.0014가 나왔기 때문에 **로 표시하였습니다.

Prism에서 간편하게 엑셀 파일을 연동하고, 그래프를 가공할 수 있으며 통계까지 바로 처리할 수 있어서 제일 애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여러 프로그램과 교육/강의를 통해서 통계 처리하는 법을 배우면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정보화시대~! 구글링과 유튜브에서 좋은 선생님들께서 친절하게 알려주니까 독학도 도전해보세요!

  추천 1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피치 (필명)

안녕하세요! 저는 연구실 생활 6년 차이자 박사과정에 있는 피치라고 합니다. 제가 학부생일 때 이런 정보를 알았더라면, 나한테는 왜 이런 말 해주는 선배가 없었을까? 하는 기분으로 TMI 이야기로 풀어보려고 합니다! 부디 예비 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이 되었...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보기 >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대학원이야기를 마치며
저도 아직 대학원생이고, 제가 아는 것이 모두 정확하고 맞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많은 대학원생이 힘들지 않았으면 좋겠고 조금이라도 제가 아는 것은 알려주고 도와주고 싶은 마음에...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너무 많은 계획서들 (IRB, IACUC, IBC, LMO)
대학원에 와서 정말 많고 많은 서류와 승인계획서들과 끊임없이 싸우고 있는 것 같아요 ㅠㅠ_ㅠㅠ 승부는 아직도 정해지지 않았다는… 연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모든 계획서에 승인을 받...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학회 탐방기
제가 석사학위를 하는 동안에는 거리두기가 없었던 코로나 이전의 시대라서 많은 학회에 참석할 수 있었습니다. 먼저 대학원생이 학회에 참여하는 가장 대중적인 방법에는 논문의 초록을 제...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