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라스트롤의 항-비만 작용기작 밝혀
|
 |
항-비만 기능을 가진 셀라스트롤 (Celastrol, pentacyclic triterpene)은 뇌에서 호르몬, 렙틴 (leptin)의 감수성을 증가시켜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데 이 과정에 셀라스트롤의 활성 조절하는 수용체, interleukin-1 receptor 1 (IL1R1) 작용 메커니즘을 보스턴 어린이 병원 (Boston Children's Hospital) 연구진들이 밝혔다.
[원문기사보기]
IL1R1 is required for celastrol’s leptin-sensitization and antiobesity effects (Nature Medicine)
[논문보기]
|
지라 (spleen)에서 miR-132의 면역조절기능 밝혀
|
 |
MicroRNA-132 (miR-132)의 면역조절 기능은 이미 알려져 있는데 가장 중요한 림프기관인 지라 (spleen)에서 CD4+ T cells의 miR-132는 병원체 감염으로 생긴 만성 염증반응에 대해 라이보조말 단백질(ribosomal protein) 코딩하는 유전자, BTAF1 (B‐TFIID co‐factor) / p300 mRNA 전사를 억제해 최적의 CD4+ T cell 활성을 유지하게 한다는 사실을 런던퀸메리대학교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연구진들이 밝혔다.
[원문기사보기]
miR‐132 suppresses transcription of ribosomal proteins to promote protective Th1 immunity (EMBO Journal)
[논문보기]
|
당뇨 환자가 세균 감염에 취약한 이유 중에 하나 밝혀
|
 |
당뇨 환자들이 세균 감염에 취약한 이유 중에 하나가 중간엽줄기세포 (multipotent stromal cells, MSCs)의 항-세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의 감소가 원인일 수 있다는 사실을 MedStar Union Memorial Hospital 연구진이 밝혔다.
[원문기사보기]
Compromised Antibacterial Function of Multipotent Stromal Cells in Diabetes (Stem Cells and Development)
[논문보기]
|
스피트조이드 흑색종을 일으키는 유전자 퓨젼 밝혀
|
유전자 (ALK, RET, NTRK1/3, MET, ROS1 그리고 BRAF) 퓨젼으로 어린이나 청소년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진 스피트조이드 흑색종 (spitzoid melanoma) 환자를 대상으로 전체 지놈과 전사체 분석을 통해 환자의 33%에서 단백질, MEK를 활성화시키는 인산화효소, serine-threonine kinase를 코딩하는 MAP3K8 유전자 퓨젼을 세인트주드 소아연구병원(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연구진들이 찾았다.
[원문기사보기]
Clinical genome sequencing uncovers potentially targetable truncations and fusions of MAP3K8 in spitzoid and other melanomas (Nature Medicine)
[논문보기]
|
현재 추세라면 주요 질병을 매개하는 모기가 우리가 사는 공간에 점점 더 가까워 진다
|
 |
국제 공동연구팀이 황열, 댕기열 그리고 지카 등의 병을 매개하는 두 종류의 모기 (Aedes aegypti / Aedes albopictus)의 서식에 미치는 요소(도시화, 기후 온난화, 사람의 이동이나 여행 등)들을 통합해 만든 새로운 모델을 사용해 이들의 분포를 예측하는 지도를 만들었다.
[원문기사보기]
Past and future spread of the arbovirus vectors Aedes aegypti and Aedes albopictus (Nature Microbiology)
[논문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