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서브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분류학적 난제 해결을 위한 계통유전체학(Phylogenomics) 연구동향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7267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유전되는 질 내 박테리아, 비만까지 영향 준다
의학약학 한국연구재단 (2017-01-02)

upload image

[그림] 유전적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 질 내 미생물과 여성건강의 연관성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고광표 교수(서울대) 연구팀이 여성 생식기 내 미생물집단이 유전의 영향을 받고, 그 중 프리보텔라(Prevotella) 박테리아는 여성의 비만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제시했다고 밝혔다.

□ 프리보텔라는 질 내 미생물 중 잠재적 유해균이다. 프리보텔라가 많아지고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가 줄어 들면 다른 요인과 함께 세균성 질염 등 여성 질환을 유발한다.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 질 내 미생물군총의 주요 우점균 및 유익균으로, 락토바실러스가 분비하는 젖산과 항균물질이 다른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여성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함.

□ 연구팀은 여성생식기 내 미생물집단의 유전적 영향에 주목하였다. 인체 유전인자의 질 내 박테리아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전적인 요인을 분석하는 최적의 연구대상인 한국인 일란성이란성 여성 쌍둥이 등을 포함한 542명을 분석하였다.

□ 분석 결과, 유전자 연관성이 가장 높은 일란성 쌍둥이의 질 내 미생물집단이 가장 유사하였다. 이는 인체 유전에 의하여 질 내 미생물집단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 내 미생물집단 중 하나인 프리보텔라 박테리아는 락토바실러스와 더불어 인체의 유전적 요인을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특히 인체 면역유전자 중 하나인 IL5의 단일유전자 변이*에 따라 프리보텔라의 존재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밝혔다.
     * 단일유전자 변이(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세포 핵 속의 염색체가 갖고 있는 30억 개의 염기서열 중 개인의 편차를 나타내는 한 개 또는 수십 개의 염기변이를 명칭함. 

□ 연구팀은 프리보텔라가 비만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제시했다. 12주 고지방 식이요법으로 비만을 유도한 쥐에서 프리보텔라가 증가했다. 또한 비만을 유도한 쥐의 질 내 미생물을 일반 쥐로 이식시키면 비만이 될 가능성이 있는 지표로 살펴볼 수 있는 내독소혈증*이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나아가 프리보텔라와 같은 질 내 미생물이 비만 등의 대사성 질환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 내독소혈증(endotoxmia) : 박테리아의 내독소(endotoxin)가 혈류에 나타나는 현상. 비만과 당뇨 같은  대사성 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킴. 이 연구에서는 내독소혈증을 비만의 전 단계 마커로서 사용함.

□ 고광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여성 질환이나 비만과 연관성이 깊은 프리보텔라 박테리아의 인체의 유전적 영향을 밝힌 것이다. 향후 질염, 조산 등 질환에 있어 미생물군집유전체*의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미생물군집유전체(microbiome): 몸 속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 미생물과 미생물의 총체적인 유전정보를 총칭함. 세컨드 게놈으로 불림. 사람마다 지문이 다르듯 미생물군집에도 차이가 있음.

□ 이 연구성과는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과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국제 미생물학 학술지인 셀 호스트 앤 마이크로브(Cell Host & Microbe) 12월 22일자에 게재되었다.

파일첨부 1: 유전되는 질 내 박테리아 비만까지 영향 준다_final(송부).hwp (336 KB)
  추천 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