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퍼킨엘머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최정욱 교수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40438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연구논문을 위한 핵심 10단계] H-지수(H-Index) 란 무엇인가?
종합 이나고 (2016-03-10)

일반적으로 특정 연구원의 연구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논문을 발표 하였는지를 보게됩니다. 그러나 단순히 발표한 논문 수로만 그 연구원의 연구 업적을 평가 하기에는 발표한 논문의 질이 보증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해 2005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물리학 교수인 Jorge E. Hirsch는 각 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논문의 발표량과 인용횟수를 이용해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 H-지수를 제안하였습니다.

H-지수(H-Index)


H-지수란?

H-지수는 특정 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써, 발표한 논문수와 피인용수를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학문적 역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H-지수는 개인뿐만 아니라 연구단체, 기관 또는 국가의 연구 성과를 측정하는 데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H-지수 구하는 방법

나의 h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우측의 표와 같이 자신이 저널에 등재한 전체 논문중 많이 인용된 순으로 정렬한 후, 피인용수가 논문수와 같아지거나 피인용수가 논문수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숫자가 바로 나의 h가 됩니다. 이 표에서는 10이 H-지수가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여, 이 연구원은 논문 인용횟수가 10이 넘는 논문이 적어도 10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지수


최근에는 인용정보제공 데이타베이스인 SCOPUS 와 Web of Science (WOS) 뿐만 아니라 여러 무료로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의 등장으로 연구원별 H-지수를 온라인 상으로 보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지수의 장점

논문수 또는 피인용수로만 평가되는 기존의 개별 지표와는 달리, H-지수는 논문수와 피인용수 모두를 고려하여 평가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H-지수를 이용하면 적은 논문을 발표 했는데도 피인용을 많이 받은 연구원과 많은 논문을 발표했지만 피인용수가 적은 연구자의 구별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피인용을 많이 받은 한 두개의 논문 또는 피인용은 거의 없이 논문만 많이 낸 연구원이 과도하게 높게 평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객관적인 연구 업적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H-지수의 단점

H-지수는 연구원의 피인용수가 기반이 되어 평가되므로, 임팩트 팩터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분야의 연구원을 비교하는 용도로는 사용될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논문에 자신의 다른 논문을 인용하는 self-citation이나 공동저자가 많은 co-authorship등과 같은 문제로H-지수가 완벽히 객관적일 수 없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H-지수는 노벨상 뿐만 아니라 심사의 공정성과 권위를 인정 받고있는 분쉬 의학상에도 사용되는 평가 척도이니 만큼, 연구 업적을 평가하는 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잣대가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 뿐만 아니라 같은 분야 연구원들의 H-지수를 잘 이해하고 연구에 매진한다면 더 발전된 연구 성과를 얻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문헌
1. J.E.Hirsch. An index to quantify an individual’s scientific research output. PNAS. 2005:102(46);16569-16572
2. Boehringer Ingelheim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보도자료
http://boehringer-ingelheim.co.kr/customer/report_view.htm?b_idx=300&pageno=19
3. 포스텍 학술정보매거진
http://postechlibrary.tistory.com/489
4.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dgulibrary.tistory.com/60

  추천 4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이나고 (크림슨인터랙티브코리아(주))

http://enago.co.kr 크림슨인터랙티브코리아(주)  - 이나고(enago.co.kr) 는 서울대, 연세대, 동경대, 뮌헨대학교 등 세계...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보기 >
[학술논문 출판지식공유] 박사과정 일정관리를 위한 조언
박사과정이든 석사과정이든 대학원에 입학했다는 사실은 매우 기쁘고 설레는 일입니다. 특히 박사라는 학위는 어떤 분야에 있어서 최고의 배움을 받고 그 분야의 전문가로서 역할을 할 수...
[학술논문 출판지식공유] 효과적인 참고문헌 관리 소프트웨어, 레프웍스 (RefWorks)
연구논문 집필에 있어 기존 연구 자료는 등대와도 같은 존재입니다. 논리적인 전개는 물론, 방향성을 정하는 데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기존 연구자료의 인용...
[학술논문 출판지식공유] 연구 제안서 작성을 위한 5가지 중요한 조언
한 노교수님께서 은퇴하시면서 이제야 연구제안서 작성하는 일상에서 벗어나게 되어서 한편으로는 좋으면서 섭섭하기도하다는 말씀을 하신 것을 필자는 지금도 기억합니다.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