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김진수 단장, 세계과학기자대회 세션 개최...‘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세상을 바꾼다’ 주제로 발표와 토론
생명과학 기초과학연구원 (2015-06-08)
오는 6월 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에서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 유전체 교정 연구단을 이끄는 김진수 연구단장이‘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세상을 바꾼다(CRISPR genome editing)’라는 주제로 세션을 개최한다.
연사로는 중국 상하이과기대학교(ShanghaiTech University) 싱슈 황(Xingxu Huang) 교수와 일본 홋카이도대학교(Hokkaido University) 테츠야 이시히(Tetsuya Ishii) 교수 등이 나선다.
유전학자인 싱슈 황 교수는 최초로 원숭이의 유전체 교정에 성공해 셀(Cell)지에 논문을 발표하였고, 인간 생식세포 교정(human germline editing) 실험을 위해 당국에 허가를 요청한 사실이 사이언스(Science)지에 보도돼 화제가 됐다.
생명윤리학자인 테츠야 이시히 교수는 과학정책 전문가로 유전체 교정 작물의 GMO 규제 여부와 인간 생식세포 교정에 관한 다양한 정책적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 동물, 식물의 DNA에 맞춤 변이를 도입하거나 교정하는 도구로서 난치병 치료와 고부가가치 농작물, 가축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제3세대 유전자 가위’로 불리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가 개발되면서 전 세계 생명과학자들이 누구나 손쉽게 이 도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연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기술은 암, 에이즈, 유전질환 등 난치병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맞춤형 아기’의 탄생을 초래할 수 있다는 윤리적 문제도 제기되고 있어 과학계 안팎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개회식이 열리는 9일 오후 2시부터 동시세션의 하나로 90분간 연사 발표와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오는 6월 8~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는 세계 각국에서 활동 중인 1천여 명의 과학·의학 언론인이 모이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과학언론 행사다.
세계과학기자대회는 세계과학기자연맹(WFSJ)이 2년마다 개최하는 국제행사로 올해는 리처드 스톤 사이언스지 국제뉴스편집장 등이 참석한다.
기조강연은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연구로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iPS 세포연구소장과 BBC 라디오 건강 프로그램 진행자 코니 세인트루이스(Connie St. Louis) 런던 시티대 교수, ‘톰스 리버: 과학과 구제의 이야기(Toms River: A Story of Science and Salvation)'로 2014년 퓰리처상(산문부문)을 받은 댄 페이긴(Dan Fagin) 뉴욕대 언론학부 교수가 맡았다.
1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