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9601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국내 생명과학관련 분야 상위피인용 논문 25%가 IF 5점대 이하
종합 BRIC (2013-08-13)

국내 생명과학관련 분야 상위피인용 논문 25%가 IF 5점대 이하
- 저널 Impact Factor에만 의존하는 연구 평가 개선되어야 -



생물학연구정보센터(이하 BRIC)에서는 최근 10년(2003년~2012년)간 국내 생명과학관련 분야 발표 논문 약 10만 4천여 편을 대상으로 피인용 횟수가 높은 논문(이하 상위피인용 논문)을 살펴본 결과 총 323편으로 조사되었다.

상위피인용 논문 대상 기준은 교신저자가 국내 소속으로 논문 출판일 기준으로 3년 이내 60회 이상, 기간과 상관없이 120회 이상 피인용 횟수를 나타낸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상위피인용 논문으로 선정된 323편의 논문들이 투고된 각 저널들의 Impact Factor(JCR Science Edition 2012 기준, 이하 IF)를 조사하여 평균 IF를 구한 결과 12.236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IF 점수 구간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0점~5점 사이가 25%, 5점~10점 사이가 38%로 나타나 IF 10점 이하의 저널에서 상위피인용 대상 논문이 63%를 차지했다.
 
연도별로 분석에서는 논문 피인용 횟수는 2003년도에 발표된 논문의 편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논문 발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인용 횟수가 높아지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였다. 특이한 점은 2008년과 2009년도에 상위피인용 논문의 수가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기관별 상위피인용 논문 분석에서는 대학이 273.4편, 공기관(출연연) 29.5편, 기타(기업, 병원) 6.5편으로 조사되었다.

대학별 상위피인용 논문 분석에서 ‘Bioscience’ 부분으로 서울대(29.5편), KAIST(15.5편), POSTECH(7편) 순으로 나타났고, ‘Medical science’ 부분에서는 서울대(34편), 울산대(15.5편), 연세대(6.5편) 순으로 나타났으며, ‘Interdisciplinary science’ 부분에서는 서울대(18.5편), KAIST(8.5편), 연세대(7편) 순으로 나타났다.

공기관(출연연) 분석에서는 KIST(12편)가 가장 많은 편수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국립암센터(5편)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5편)이 같은 편수로 나타났다.

상위피인용 논문의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microRNA, Transcription Factors, Arabidopsis Proteins ,Antineoplastic Agents, Fluorescent Dyes 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번 분석은 저널 중심의 논문 평가에서 피인용 횟수를 근거로 한 개별 논문 중심의 질적 우수 연구 성과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 상위피인용 논문 분석보고서 보기 (PDF)
/myboard/read.php?Board=report&id=1248

(기사 내용 중 '서울대(31.5편)'을 '서울대(29.5편)'으로, 'KAIST(13.5편)'을 'KAIST(15.5편)'으로 수정합니다. 수정일자: 2013-8-14 15:49)

  추천 6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2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회원작성글 kf04  (2013-08-13 14:37)
1
언론 및 포탈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움직인다. 포탈 브릭에서는 연구자들에게 (특히 새로 시작하는 대학원생들..) 각 분야에서의 우수한 연구 내용 소개와 더불어 다양한 연구 분야가 함께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포탈을 운영했어야 했는데, 오래전부터 연구 분야를 구분하지 않고 연구자들이 IF를 기준으로 연구 성과를 편협된 시각으로 보도록 인도하였다. 포탈 운영과 관련하여 참으로 아쉬움이 많아서 안타깝다. 많은 연구자들이 특히 신진 연구자들이 연구보다 IF를 먼저 알게 되니 말이다..
회원작성글 kwisin  (2013-08-14 08:20)
2
설문조사 결과는 맞을지 몰라도 원인분석은 틀린듯한데요? 일반 학생 및 연구원인 IF가 좋을 수록 좋긴하겠지만 젤 중요한건 무료로 열어 볼 수 있냐는 것입니다. 회사건 학교건 돈 대신 내어주는것도 아닌데 IF가 아무리 높아본들 유료이면 볼 수 없는게 현실이죠.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