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뇌과학자를 꿈꾸는 고3 학생입니다. 곧있으면 수시원서접수일이라 자소서를 마무리하는 단계인데요, 다름이 아니라, 제가 자소서에 인용한 연구가 실제로 존재하는 지 여쭈어보고파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2학년때, 교내에서 진행하는 '전문가와의 대화'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당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한 교수님이 오셨습니다. '뇌질환의 원인과 관련 연구'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었고, 그중 minibrain 연구에 대해 설명해주셨는데, "사람의 뇌를 구현하여 만든 mini brain이 각 영역별로 따로 만든것이 아니라 스스로 분열하여 각 부분을 만들어 내었고 후에는 '눈'까지 만들어졌다고 하시면서 생명윤리적문제로 폐기처분되었다"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정말 인상깊어 메모를 꼼꼼히 해두었고요. 그런데 지금 구글로 검색해 보니, 눈의 출현으로 폐기되었다는 내용을 찾지 못했습니다. 물론 저의 아직 부족한 영어실력과 과학적지식때문에 있는것을 못찾은거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분야에 대해서는 이 사이트에 잘문하는것이 가장 정확하고 전문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을거라는 생각에 이 커뮤니티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혹시 아신다면 실제로 저런 일이 있었는지, 그리고 어디로 가야 볼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담임선생님께서 교수님들이 보시는 자소서에 사실이 아닌 내용을 쓰면 마이너스라고 하시면서 꼭 확인해보라고 당부하셔서 이렇게 부탁드립니다. 지식인에는 답을 아무도 남기는 분이 없어서 ㅠㅠ
구글 이미지 검색한번 해보세요.. 님이 생각하신 것과 같은 미니브레인이 있는지.. 아마 없을 거고요.. 윤리적 문제로 폐기할 이유도 없습니다. 왜 폐기하겠습니까? 생각할까봐서요? 님이 말씀하신 것과 가장 가까운 브레인이 아마도 http://www.labmanager.com/news/2015/08/-brain-changer-?fw1pk=2#.V9UDMfkrLDc 이것 같은데요.. 거의 완전한 태아의 뇌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고 optic stalk이라고 나중에 vision을 담당할 부분도 생겼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만 찾아본 결과 논문으로 출판된 흔적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어쩌면 발표하신 분의 말이 반은 맞을수 있습니다...mini brain 만들어본 경험자로서 말씀드리면...^^
mini brain을 만들때 dual smad inhibitor를 사용해서 neural development (ectoderm)를 거치게 됩니다..이런 결과 neuroectoderm, neural crest을 형성한 다음 retina neuron이 만들어 질수도 있습니다.. 무작위적인 분화이죠...
하지만 눈을 만들기 위해서는 mesoderm development 역시 필요합니다. 눈은 신경만으로 되어있는것이 아니고..시신경을 둘러싼 근육과 blood vessels 역시 필요하기 때문이죠...그런데 이경우는 dual smad가 아닌 BMP4를 activation 시켜야 합니다.. 같은 배양액에 inhibitor와 activator를 같이 사용할수 없으니 이 경우 이쪽으로의 분화는 억제가 됩니다..결국 blood vessels이나 muscle 같은 기관은 mini brain과 현재로서는 함께 분화하기가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시신경을 만들수는 있지만...아직까지 "눈"을 스템셀에서 분화해서 만들기는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