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자기보다 나은 포닥을 뽑을수있는 능력자체가 그 교수의 능력이랍니다. 오히려 포닥하나 뽑을 연구비도 못딴체 재료비 아끼기 위해 학생들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교수가 더 나쁜교수랍니다. 예를들어 킷 하나면 시간을 세~네배 절약할수 있음에도 재료비아까우니 각각의 버퍼들 다 만들고 매뉴얼로 실험하고..결과안나오면 나올때까지 반복시키면서 능력없으면 시간이라도 때려박으라고 아침부터 새벽까지 주말이고 공휴일이고 잡아두고 본인이 한시간에 한번씩 나와 감시하고 ..사람 피말려죽이는 사람이 의외로 상당합니다.
작성자 학생은 연구비 잘 따와서 포닥데리고 있는 교수님 밑에서 학위하는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해야합니다.. 또한 포닥 데리고 있는 이유중 하나가 학위생들 실험도 봐주고 논문쓰는것도 도우며 마무리 하라는 뜻이기도하지요..
군대에서 행보관이 병사들과 함께 삽질하면 작업진도 안나가지요? 각각의 작업은 경험있는 병장들에게 맡기고 큰 그림을 봐야 뭐든 되는겁니다. 전투시 장군이 병사들과 함게 총쏘고 뛰어다니면 그 전투 이기기 힘듭니다. 전체를 봐야하지요.. 헌데 병사들중에 지는 총안쏘고 산꼭데기에서 이래라 저래라 지휘만하면서 위험하고 귀찮은건 소대장시키네???<<< 요말하는거랑 비약은 좀 심하지만 일맥상통하는거랍니다.
연구능력이 있다고 직접 파이펫잡고 학생이랑 밤새서 실험하는 교수는 절대로 연구비 못땁니다..포닥 못뽑아요.. 학생은 죽어나는거에요 ㅎㅎ
작성자님 뭘 모르시나본데 교수의 능력은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합니다. 논문을 잘 뽑아내는 능력, 연구비를 잘 따내는 능력, 인맥이 좋은 능력, 자기 사람으로 데리고 있을 사람 뽑아내는 능력 등등 .. 여러가지 멀티로 잘하시는 분도 계시지만, 한가지를 특출나게 잘하시는 분도 굉장히 많습니다. 랩맴버도 다양한 개성과 다양한 장점을 가지지 않습니까? 교수는 누가 뭐래도, 대한민국에서 공인받은 존재들입니다. 님이 논문 좀 더 읽어서 교수님보다 그 지엽적인 분야 조금 더 안다고 해서 잘났다고 자만하시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여튼 님 레벨일 땐 그분들은 자기분야에 대해서는 specialist셨으니까
교수들 바본줄 아시는지.. 학생은 가르쳐야 써먹지요. 석사졸업한 테크니션 고용해서 연구진행하는게 훨씬 이득입니다. 다만 교수의 의무중하나가 교육이고(학교에서 교육점수를 받으려면 어쩔수없이 학위생 뽑아 졸업시켜야합니다). 그 예로 테뉴어 받고나서는 연구비있는 교수님들 또는 대가들은 포닥만 뽑으려 하지 학위생 뽑으려 하지 않습니다. (물론 찾아와서 제자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 거르고 걸러서 받기도 하지요)
1저자는 연구를 주도하고 논문을 쓴 사람(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공식적으로 이론을 확립하여 발표한자)입니다. 실험을 주도한사람이 아닙니다. 학생들중에 상당수가 저자에 불만이 있는듯 한데요 실험을 100%했더라도 자신의 아이디어가 객관적으로 평가시에 들어가지 않고, manuscript를 작성하지 않은경우 1저자 권한은 없습니다.
물론 교수랑 아는사이라고 저자들어가고, 재임용이니 들어가고, 같은 실험실 랩원이니 들어가고, 연구비 도움줬으니 들어가고..이런것들 다 문제가 있는것이지요!!
공적인 위원회에 따라 FM으로 저자 책정을 한다면 위의 사람들도 저자 못되겟지만, 학위생중 상당수가 1저자 못될겁니다.
저도 교수목표로 연구하는 연구자라 내가 교수되면 그러지 말아야지...하는데, 밑도끝도없이 자기가 실험다했다고 데이터 던져주고 나몰라라 한후 1저자 시켜달라는 학생이 있다면 과연 도의적으로 1저자를 시켜줘야하나...원칙적으로 1저자에서 제외시켜야 하나.. 고민될것같네요
그니까 학생을 뽑는게 싼값에 부려먹을라고 하는거자나요. 석사 졸업한 랩텍 하나 뽑는거랑 학생 하나 뽑는거랑 가격이 같나요. 그리고 랩텍은 뭐라 하기도 어렵죠. 학생은 졸업을 빌미로 협박하면 그만이니까.
님 말마따나 공적인 FM 기준으로 저자 책정을 하면 교신저자중에서도 교신은 커녕 저자에 못들어갈 수준도 많아요. 논문 내용이 뭔지도 모르고 교신저자하는 사람도 수두룩 하구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진짜 너무웃겨서 글남겨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저자의 정의를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
이 실험에 얼마나 기여를 했는지를 알아야지요 ^^; 교신저자의 역할과 1저자는 분명히 달라요.
물론 교수가 전적으로 실험을 거의 다 했다면 다른 이야기 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