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은 학업에 충실하시는 게 최우선이고요. 의생명과학 연구의 가장 기초는 세포학, 생화학, 분자생물학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세부전공은 이 과목들이 아닙니다. 혹시 오해하실까봐...). 이 세 과목의 기초가 튼튼해야 다른 것들도 잘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 기회와 여력이 있으면 실제로 실험실 생활을 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막연히 생각하는 연구와 실제 연구는 꽤 큰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의대에서 연구하는 교수님들 많습니다. 대부분 기초 과학보다는 병리학을 많이 하십니다.
그래서 Ph.D들과 의견차이도 많고 서로 소통이 안되는 부분이 많아요.
그냥 환자를 상대하는 의사가 적성에 안 맞아서 그러시면 기존의 MD교수님들처럼 하시면 되고, 심도있는 연구를 해보고 싶으시면 Ph.D도 추가로 고려 해보세요.
미리 어떤공부를 해야할지 물어보는건 이해가 안되는 질문이네요.
하고 싶은 분야가 뭔지 알고 그 분야를 공부 하시면 됩니다.
분자세포생물학을 큰 범위로 하시고 점점 알아가시면서 세부적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암 연구라면 엄청 넓은 범위를 뜻하니 대학생이라면 좀더 세부적으로 고민해보세요.
Immunology인지 세포공학 및 유전자 치료라던지.. 인포메틱스나, 유전체학으로 접근하기도 합니다.
최근엔, omic를 통한 분석이 필수다 보니 genomics, proteomics, metabolomics같은 학문도 중요합니다.
앞으론 숨많은 omics데이터를 AI가 분석하는게 일반적이게 될텐데, Deep learning AI 같은 분야도 미리 선점해서 공부하는것도 좋은 생각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