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ㅎㅎ... 어차피 문제시 돼도 그림 잘못 올렸다고 하고 대충 좀 다르게 편집해서 올리면 끝일텐데 걍 두세요. 근데 초범인가 너무 똑같네... 교신저자도 저정도는 보였어야 하는거 아닌가? 전 저 데이타 뭔지 잘 모르지만 옛날에 실험하기 싫어서 똑같은거 두번찍어갔다가 귀신같이 걸려서 교수님 방문 잠그고 영혼 털릴때까지 혼난거 생각나네요. 이건 정말 교신인 지도교수의 잘못인듯 성의없다 진짜
제 생각에도 graph편집 프로그램을 따로 써서 x, y 축의 글씨를 제외하고 그림만 옮긴 후 ppt에서 글씨를 타이핑해서 넣으려고 하다가 말씀하신대로 실수가 있었던것으로 생각되네요. 저도 graph는 다른 곳에서 그리고 x y축 수치만 ppt에서 타이핑해 넣어서.... 이렇게 하는 이유가 아무래도 ppt에서 직접 타이핑 하는게 글씨가 얇고 뚜렷하게 보이더라구요. 근데 y축 글씨까지 다 간격 맞춰서 타이핑해 놓고 왜 엉뚱한 그래프가 들어가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관련 논문의 주저자이며 교신 저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정해용입니다.
오늘 우연히 제 학생이 본 글을 보고 알려줘서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그림을 잘못 그린 줄 알고 글을 올렸었는데
다행인 것인지 모르겠는데 최종적으로 출판된 내용이 제가 editorial revision version으로 제출했던 그림과 다른 것을 이제야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그림을 잘못 그려 중복되었는지 알았는데 제가 6년전 제출했던 원본 그림을 모두 살펴 보니 revision 과정에서 제출된 final figures는 figure 6e ROS가 원래 데이터대로 그림이 있는데 출간된 그림이 이상하게 바뀌어 있었네요. 일단 저도 당황스러워서 모든 것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좀 더 확인하고 알려드리지요. 그림은 수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위 내용에 추가하여 좀 전에 확인한 내용으로 보니 Proof Query form 상에서 저널 편집부서에서 그림의 label을 바꾸었으니 확인하라고 해서 그림의 label을 확인했었는데 해당 그림 자체가 편집과정에서 잘못 편집되었을 것을 생각도 못했네요 (6d의 그림 모양이 거의 비슷해 보여서 헷갈린 듯 합니다.). 저희가 보낸 그림을 편집부서에서 재편집하는 과정에서 그림이 잘못 편집된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 내용을 저널에 연락하고 수정을 요구할 계획입니다. 물론 1차적으로 Proof에 대한 꼼꼼한 점검을 하지 못한 저의 잘못도 있고 근본적으로 저널 편집부의 실수가 있어서 수정을 요구하는 것이 덜 번거로울 듯 합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저희 논문 내용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드리고 3년여의 시간동안 힘들게 연구한 내용을 혹여나 의도적으로 조작한 것은 없으니 오해는 없으셨으면 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haiyoung@kribb.re.kr로 편히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