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커뮤니티
한국요꼬가와전기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주재열 교수
전체보기 소리마당PLUS 학회룸쉐어 Sci카페 SciON(설문조사)
조회 3022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오피니언] 기초연구 투자전략(안) 의견수렴 간담회에 어떤 질문을 하면 좋을까요?
회원작성글 임모탈(과기인)
  (2022-01-06 20:00)

안녕하세요 BRIC 회원 여러분.

이번에 우연한 기회로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 간담회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이 간담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논의한다고 합니다.

   - 젊은 연구자 성장을 위한 단계별 지원방향 논의 및 건의사항 청취
   - 젊은 연구자 경력경로 다양화를 위한 지원방향 논의 및 건의사항 청취


저의 경우 학, 석, 박사 과정에서 배운게 생화학, 면역학이기 때문에 생각의 범위가 아무리 넓게 잡아도 생명과학분야에서 필요한 지원방향 정도 입니다. 그래서 저 한사람의 생각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분들의 생각과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여기에 글을 남깁니다.

선배 연구자 분들께서 생각하시는 후배 연구자가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이 무엇이 있을까요?
지금 막 학위과정을 시작한 (석사/박사) 젊은 연구자 분들의 고충은 무엇이고, 어떤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포닥 생활을 하면서 어려운/어려웠던 점은 무엇이고, 어떤 지원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시나요?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성공한 연구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필요했던 지원방법들이 무엇인 지 알려주세요. 

1월 14일(금)에 있을 간담회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게 전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태그  #과학   #기술   #혁신
이슈추천  1
신고하기
글쓰기
  댓글 4  
네이버회원 작성글 이제*(비회원)  (2022-01-06 20:20)
1
대학원 등록금이 가장 부담됩니다. 인건비로 충당이 가능하나, 등록금을 내면 실질적으로 생활비도 부족한 형편으로 부모님에게 손벌리게 되는게 가장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댓글리플
  
  신고하기
회원작성글 skepsci(과기인)  (2022-01-06 22:02)
2
우리나라 기초과학이 발전하려면 국가주도의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같은 허상에 대형 과제를 만드는게 아니라 연구자가 조금이나마 보편적이고 안정적으로 연구비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 정부는 거꾸로가고 있죠. 근데 뭐 이런 얘기해봐야 안 먹힙니다. 간담회 그런거 보통 다 요식행위거든요.
댓글리플
  
  신고하기
댓글리플
회원작성글 .........(과기인)  (2022-01-07 12:55)
3
1. 가장 큰 문제는 포닥 이후 좋은 일자리의 부족입니다만 이건 과기정통부가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지요. 의대가 등록금 싸고 학생 생활비 지원해줘서 많이 가나요?

2. 현실적으로 범위를 좁혀서 정부 연구비 정책의 문제로 가면 윗 분 지적이 맞습니다. 신진과 중견이 제도 자체는 좋고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의 가장 기본적인 과제인데 경쟁률이 너무 높습니다. 일단 랩 유지는 할 수 있게 신진/중견은 어느 정도 주고 더 잘하는 사람들은 다른 목적의 대형과제 등을 도전하게 해야지요. 가장 일반적인 1억 내외 신진/중견 과제 선정률 겨우 2~30%로 알고 있습니다. 4명 중 1명 준다는 이야기지요. 1억 과제 따도 간접비 25% 안팎 떼고 나면 7500 남습니다. 대학원생 등록금+생활비 주면 대학원생 한 명만 1년에 2~3천 나가는데 제대로 실험하려면 재료비가 충당이 되나요? 장비는 꿈도 못 꾸지요. 이 정도의 과제도 겨우 4명 중 1명 줍니다. 대형과제보다 이 부분이 훨씬 중요한데 이 부분은 늘려도 티가 안나니까 정부는 대형 기획과제만 신경쓰겠지요. 결국 기반 확충이 근본적인 문제이고 이를 위해서 정부과제에서는 신진/중견을 늘리는 것이 맞습니다.
  신고하기
회원작성글 임모탈(과기인)  (2022-01-13 09:58)
4
답변 주신 모든 분들 감사드립니다.
내일 간담회에서 위 내용들을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리플
  
  신고하기
 
관련글
이슈 글타래 보기
 
코로나19 학술토론
 
여성과기인 지원정책 찬반
 
공정한 연구과제 심사·평가
소리마당 PLUS
포닥나라
AKIA Publication Award for Postdocto...
미국 포닥 지원부터 최종 결정까지 그 여정 [12]
피펫잡는 언니들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68. 슬기로운 미쿡 생활(31) -...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67. 슬기로운 미쿡 생활(30) -...
이 책 봤니?
[홍보] 누리호, 우주로 가는 길을 열다
[홍보] 마음의 중심이 무너지다 - 조현병 환자의 우정, 사랑, 그리고 법...
이 논문 봤니?
[요청] 논문 입문자 추천 [1]
[요청] 면역학과 바이러스학 [3]
연구비 부정신고
위로가기
커뮤니티 홈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