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실험하는데 현미경으로 동물세포를 관찰하는데는 구강상피세포를 사용하고 등장, 저장, 고장액으로 삼투실험할때는 적혈구를 썼습니다. 이유가 있나요? 왜 삼투실험에서는 굳이 복잡하게 채혈해가면서 적혈구를 사용하는건가요...?
투명한 세포를 사용하는 것 보다는 뻘건 적혈구가 관찰하기 쉽습니다.
적혈구가 삼투압에 따른 모양변화를 관찰하기 쉽습니다.
등장액에서는 일반적으로 아시는 타원형으로 관찰됩니다.
고장액에서는 적혈구내 수분이 빠져 테두리가 쪼그라든 형태, 저장액에서는 원형으로 관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