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m = mg/kg인 것은 알고 있는데 고체 시료를 water에 녹여 standard를 직접 만들 때 물질의 분자량, 순도 등을 고려해서 계산해야 한다고 들어서 그거 관련해서 여쭤본거였는데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일까요?
수용액의 경우 ppm=mg/L이니까 단순히 생각하면 50 ppm을 만든다고 했을때 시료 50g을 water 1L에 녹이면 되지만 이렇게 하면 정확한 농도가 아니라고 들어서요!
- 고체 시료를 water에 녹여 standard를 직접 만들 때 물질의 분자량, 순도 등을 고려해서
: mg/kg에서 분자량은 안들어가고 순도는 표준품 등급을 사용하면 보정해주지않아도 되며, 시약급이면 보정해줘야 합니다.
- 50 ppm을 만든다고 했을때 시료 50g을 water 1L에 녹이면 되지만 이렇게 하면 정확한 농도가 아니라고 들어서요!
: 50g -> 1L에 녹이는 것이 아니라 50g을 녹여서 1L로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