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immunofluorescence(IF) 실험을 셋팅중인 연구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A라는 특정 물질을 처리한 후 세포에 잘 투과되었는지를
IF로 확인하려고 하고있는데요.
세포에 A 샘플을 처리하여 방치한 후
Fixation, permeabilization, blocking 과정을 거친 후
A primary antibody, primary에 해당하는 secondary antibody를
붙여서 진행했습니다.
실험과정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문제는 A 라는 샘플을 처리하지 않은 컨트롤에서도
A 단백질의 발현이 관찰되어 난황을 겪고있는 상황입니다.
컨트롤에서도 A단백질 발현이 관찰 되었다는 것은
A primary antibody가 세포에 붙었다고 생각이 되는데..
그럼 세포 자체에서 A라는 단백질을 생산하거나 A primary antibody 결합부위와 맞는 유사한 단백질이 있다고 해석을 해야할까요?
A 물질 뿐만 아니라 다른 물질로 실험해도 계속 컨트롤에서 샘플 처리한 것과 비슷하게 발현이 관찰되어 고민 끝에 질문드립니다.
혹시 비슷한 경험을 해보신 분이 계시다면 도움 부탁드립니다.
1, 3번 Control / 2, 4번 Samp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