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물질을 가지고 웨스턴으로 MAPK경로를 보았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ERK의 확실한 감소를 보았습니다 (apop도 증가하였습니다). 따라서 ERK를 확실히 매개하는지 또 한번 확인하기위해 ERK inhibitor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해 그냥 물질만 처치할때보다 물질+erk inhibitor 처치군에서 더 많이 생존율감소 및 apop이 일어난걸 확인했습니다. 암것두 처치안한것,erk inhibitor만처치한것 비교는 차이없었습니다
이런식으로 논문을 작성해서 리뷰를 받았는데 한 리뷰어 분께서 물질만 처치했을때 erk가 감소하는경향이면 inhibitor 가 아니라 activator로 확인해야하는것 아니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해당 설명도 맞다고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inhibitor로 더 큰 감소를 확인했으면 이것도 erk경로를 거친다고 볼수는 없는건가요? 저는 충분히 연관있다고 생각되는데 다른분 의견도 궁금합니다 ㅜ
다른 논문을 찾아봤을떄도 pi3k경로 같은경우 apop이 일어나면 감소하는 경향이고 이걸 확인하려고 pi3k inhibitor사용하는걸 많이봐서 설정한건데 당황스러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