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경우 전염병의 전파 속도와 치명률은 반비례하긴 합니다.
말씀해주셨던대로 숙주가 너무 빨리 무력화될 경우 바이러스가 퍼지기도 전에 숙주에 갇혀버려서 전파가 멈춰버리기 때문입니다.
다만, 돌연변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치명률과 전파속도가 모두 빠른 경우도 생길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흑사병)
해당 탐구활동에 대해서 아예 잘못된 이야기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다만 해당 주제로 탐구활동을 한다면 "일정 범위의 감염재생산수가 가장 치명적일 것"에서 "치명적이다"의 기준을 무엇으로 할지 한번 고민을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