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이지 않은 결과입니다.
*
일반적으로 WST 실험과 같이 장기간 진행하는 실험의 경우에는 96 well 중에서 가장자리에 있는 well은 제외하고 안쪽에 있는 10*6에 해당하는 60well만 사용합니다.
가장자리에 있는 well에서 media가 증발하게 되면 측정하고자 하는 molecule의 농도가 증발한 media로 인해 농축된 값만큼 높게 측정됩니다.
**
Cell을 깔아주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96 well에 cell seeding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reservoir에 세포가 골고루 잘 퍼질 수 있도록 파이펫팅을 진행하고 가라앉기 전에 빠르게 다 깔아주어야 합니다. 말씀해주신 정도의 차이라면 애초에 well마다 깔린 세포의 수가 다를 가능성이 높고,
세포를 깔아준다음에 잘 퍼뜨려주려는 의도로 톡톡 쳐주게 되면 오히려 세포가 well의 중앙으로 모이며 불균일하게 깔리게 됩니다.
초보자 때에는 그냥 멀티로 세포를 넣어준다음에 안건드리고 그대로 두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cell seeding을 진행한 후 하루가 지나면 현미경으로 세포가 고루 잘 깔려 있는지 관찰하시면 됩니다.
***
멀티가 고장나거나 멀티에 꽂아주는 tip을 실수로 헐겁게 꽂아서 WST가 절반만 들어가고 그러지 않는이상은 WST가 들어가는 양 자체의 variation으로 위와 같은 차이가 보이기는 쉽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