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다드가 범위를 벗어나게 나온것이라면, 실험이 잘못되었다고 볼 확률이 높습니다. 스탠다는 제작시 킷에 나와있는 방법에 따라서 하셨는지요? 워싱의 문제라기 보단, 희석하는 초기 농도 값이 잘못되었을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스탠다드 및 샘플 희석에 사용한 버퍼는 무엇인가요? 그 킷에 아마 절대로 사용해야할 버퍼에 대해서 명시되어있을 겁니다. 다시한번 프로토콜을 잘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STD를 어떻게 만들었나요?
프로토콜에는 이렇게 만들라고 나와있고, 그래서 설명대로 0pg/ml 이상의 농도로 표시된 각 바이알에 1ml의 dw를 넣어서 만들었습니다.
동봉된 설명서에 각 standard의 농도가 0~357pg/ml이라 해서 위의 방법으로 만든 std 용액을 충분히 섞어서 웰에 넣었습니다.
참고로 측정 범위는 0.9pg/ml~357pg/ml이라고 합니다.
- 스탠다드도 측정범위를 벗어납니다.
: STD는 측정을 해서 low~high 범위를 정합니다만 측정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무슨 뜻인가요?
- kit 번호가 어떻게 되나요?
이 부분을 보고 말씀드린건데, std가 357pg/ml까지 들어있습니다.
키트 번호는 60-3900입니다ㅠㅠ
(흡광을 찍으면 거의 대부분의 웰에서 측정범위보다 높게 찍힙니다)
이 말씀이 O.D. 값이 측정범위을 벗어났다는 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