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eport 상단에 4-parameters Fit이라고 하여 나온 식은 어떻게 나오게 된 것이며, X, Y, A, B, C, D 값은 어떻게 구해진 것인지 궁금합니다.
: 4-parameter logistic curve를 구글에서 검색하셔서 보시면 됩니다.
2. chi2와 RMS는 무슨 의미인가요?
: 카이제곱검정, root mean square 검색해보시면 됩니다.
3. standard report에서 말하는 Std#, Conc, SD, %CV은 무엇인가요?
만약 %CV가 변동계수를 뜻하는 것이라면 샘플 결과에는 왜 안 나오나요?
: std# 스탠다드 넘버, Conc 입력한 스탠다드 농도, SD 표준편차, %CV 변동계수, 변동계수는 계산도 간단하니 직접하세요. 근데 보통 한농도는 3반복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2반복은 오류가능성이 높아요.
4. data analysis report의 Conc, SD(Conc)의 의미와 구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 스탠다드로 계산한 검량선을 바탕으로 추정한 농도값과 그 값의 표준편차입니다. 자세한건 구글링해보시면 나옵니다.
5. 또한 앞에 (1/10)이라고 표기된 것은 1X 혈청 원액을 증류수9혈청1로 희석한 것인데 왜 dilution 한 것과 원액의 흡광도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건가요?
: 그래프로 한번 그려서 비교해보세요.
6. Conc에 (+)라고 뜨는 이유와 SD(Conc)에 (*)이라고 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스탠다드 범위에서 벗어났고 SD값이 프로그램 세팅값 이상인 것 같네요. 스탠다드를 다시 잘 잡고 한 샘플당 3반복으로 해보세요
마지막으로 원래 그래프는 샘플을 제외한 standard만 그려지는 건가요?
프로그램 세팅이 그렇게 되어 있지 않나요? 시그마플롯이나 그래프패드프리즘으로 그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