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과학과제연구를 하고있는 고등학생입니다
균 종류는 A.flavus로 하고, 고체배지를 6등분해서 paper disc 6개를 한 배지에 놓고 배양을 했는데 저해환이 안 생기고 paper disc 주변에도 잘 자라고있어요ㅜㅜ
이런 경우에는 paper disc에 흡수시킨 시료의 농도가 낮기 때문인가요??
(다른 연구에서 항균효과가 관찰된 시료라서 시료 자체에 항균력이 없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저해환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무슨 방법을 써야하는지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 자라고있는 건 분명히 보여요!
배지 생물나라에서 진균배지로 샀는데 PDA또는 SDA중 임의로 출고된다고 써있어요ㅠㅠ
곰팡이는 세균보다 늦게 자라기 때문에 3일 이상 관찰하는것이 좋습니다.
포자까지 완전히 형성하려면 5일 이상 배양해야 합니다.
시료의 항진균 활성을 비교하려면 항진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대조군으로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찾아보니 A.flavus가 생장함에따라 흰색->노란색->올리브색을 띤다고 하는데,
지금 작은 흰색 모양이에요!
작은 흰색들이 paper disc 주위에 분포하고 있는데 올리브색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한다는 말씀이신가요??
(근데 원래 저해환에는 아무런 균의 흔적도 안 나타나는 게 맞지 않나요ㅠㅠ)
저해환의 유무는 사용한 미생물이 완전히 자란 상태에서 확인합니다.
따라서 사용한 미생물 종류에 따라서 배양 시간이 다릅니다.
현재 균사가 자라는 상태에서 disc 주변에도 자란다면 활성이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균이 완전히 자란 다음에 판정하는것이 실험입니다.
그렇군요
균이 완전히 자란 다음에도 저해환이 없다고 판단된다면
paper disc에 시료를 주입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4번정도 반복하여 시료양을 늘려 실험하면 괜찮을까요?
시료의 양을 늘이려면 시료를 농축해서 사용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disc에 올리는 횟수를 여러번하기가 쉽지 않을 겁니다.
농축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학교에서 실험하는 거라서 기계없이 하는 방법이 있나요?
물질이 어떤건지 모르기 때문에 열을 가해서 농축하기는 힘들고 장비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농축은 어려울 겁니다.
시료를 추출할 때 원료 양을 늘여서 추출하면 농도를 올릴수가 있습니다.
현재의 상황이 농도가 낮아서 활성이 없는지 활성 성분이 없어서 활성이
없는지 알수 없기 때문에 여러 시료를 대상으로 test 해보는것이 좋을 듯
합니다.
현재 시료가 항진균 활성이 있는건 확실한가요?
다른 연구에서 항균실험이 어느정도 되어있어서 그부분은 확실합니다!
시료추출할 때 원료의 양을 늘리거나 paper disc에 많이 흡수시켜보는 방법 등으로 시도해볼게요!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