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Molecular Biology-RNA > mRNA Analysis |
|
 |
|
|
 |
RNA추출 과정중 heatingblock 55도 가열 이유 |
|
|
토짜(대학원생) | 2020.04.08 13:29
|
|
안녕하십니까 초보대학원생입니다.
여러가지RNA 추출 프로토콜비교중
75%ETOH washing까지 맞춘 뒤에 건조 후 DEPC나 RNase free water 첨가 후 heating block 55도 가열 하는 곳도 있고 안하는 프로토콜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heating blcok을 하는 이유좀 알수있을까요?
|
|
|
|
|
|
|
|
|
|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SPEED | 2020.04.08
|
 |
|
|
|
spin column의 경우 elution 효율을 높이려고 하는 것입니다.
37도 정도 heating해도 충분합니다.
manual로 prep.했을 경우 마지막 단계에서 heating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heating 후 cooling하면 즉시 가닥 내 결합이 다시 형성됩니다.
|
|
|
|
seraphina | 2020.04.08
|
|
|
|
|
+ RNA의 dimer, hairpin구조 등 2차구조를 풀어주기 위함입니다.
|
|
|
|
느림보 | 2020.04.09
|
 |
|
|
|
"여러가지 추출방법 중"이라고 하셨으니, 대충 짐작컨대 crude total RNA를 알콜 침전시킨 후에 용해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인 듯 합니다. 식물이나 균류의 total RNA를 추출하는 CTAB 방법이 대표적입니다. CTAB 버퍼로 추출하고서 DEPC water나 SDS를 저농도로 첨가한 SSTE 버퍼로 50-60도로 녹이기도 하는데요, 시료에 고분자량의 불순물이 많이 들어있으면 RNA가 그 복합 침전에서 잘 녹아나오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그런데 개인적인 경험상, 실온의 DW대신 50도를 처리했을 때 최종적인 수율에 이득이 적었습니다. 오히려 품질(260/230)이 더 나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국은 시료와 추출방법에 따라 효과를 시험한 후에 가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겁니다.
|
|
|
|
|
|
|
|
|
외부제휴사 광고  |
|
|
 |
146,000원
|
 |
82,500원 → 78,400원
|
 |
403,300원 → 121,000원
|
 |
767,100원 → 744,100원
|
 |
555,000원
|
 |
23,600원 → 7,100원
|
 |
163,300원 → 49,000원
|
 |
219,900원 → 66,000원
|
 |
153,700원 → 146,100원
|
 |
140,600원 → 133,600원
|
 |
49,000원 → 46,600원
|
 |
818,000원 → 777,100원
|
 |
247,800원 → 74,400원
|
 |
254,500원 → 76,400원
|
 |
318,000원
|
 |
149,300원 → 141,900원
|
 |
51,500원 → 15,500원
|
 |
254,200원 → 76,300원
|
 |
920,900원 → 276,300원
|
 |
83,500원 → 25,100원
|
 |
398,000원
|
 |
243,000원
|
 |
249,900원 → 237,500원
|
 |
971,000원
|
|
|
|
|
|
|
|
|
|
|
|
 |
|
 |
 이예이
 SPEED
 가나다라마마마
 강시
 bio
 다스
 rbsdl13
 우2
|
|
|
 SPEED
 강시
 스카이
 Kim
 식스센스
 SPPG
 남녀칠세마동석
 SPEED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