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Molecular Biology-Protein > Western Blot Analysis |
|
 |
|
|
 |
western blot 실험시, 항체 반응 후 ponceau S staining |
|
|
대학원생94(대학원생) | 11.15 15:42
|
|
|
|
western blot 실험 과정 중 결과에 대해서 여쭙고자 합니다.
PVDF membrane을 이용해서 transfer 하고 바로 항체 반응 진행했고, 그 후 chemiluminescence 과정까지 진행했습니다.
그 후에 membrane을 그대로 ponceau S 로 stain을 해봤습니다.
결과는 첨부파일로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lane 1: marker, lane 2: 단백질1, lane 3: 단백질2, lane 4: 단백질3)
사진 결과를 보면 lane 3과 4에서 염색된 두꺼운 밴드가 보이는데, 이 밴드가 항체에 반응한 단백질 부분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그러면 다른 밴드가 안보이는 것은 항체 반응하지 않은 부분은 염색이 되지 않았다는 걸까요?
transfer 직후에 staining을 한것이 아니기때문에 다른 결과가 나올것이라 예상은 했지만,
어떻게 해석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
#western blot #ponceau S #membrane |
답변하기 |
|
|
|
|
|
|
|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chemiluminescence 측정한 사진과 비교해보면 알수 있습니다.
첨부 사진을 색상 조절해 보면 lane 2, 3, 4에서 염색된 단백질이 여러개 보입니다.
background 색으로 인해 잘 안보이는 것 뿐입니다.
|
|
SPEED | 11.15 16:23
|
|
웨스턴을 하면 미량의 항체가 타겟 단백질에 붙습니다.
그래서 멤브레인을 염색해도 항체가 붙었는지 알기는 어렵습니다.
웨스턴을 한 다음 폰슈로 염색하면 블라킹에 사용한 BSA나 스킴밀크 단백질이 멤브레인 전체에 그야말로 도배를 한 상태라서 멤브레인 전체가 빨갛게 염색됩니다.
그래서 젤이 빨갛게 보이는 것이며 단백질 밴드가 보이는 것은 원래 있는 만큼만 보이는 것이며 항체가 붙었는지는 말해주지 않습니다. |
|
강시 | 11.15 21:13
|
|
강시님 말씀처럼
Blocking한 membrane에는
membrane전체에 blocking protein이 달라붙어있으므로
ponceau s 염색이 의미가 없습니다.
|
|
무광 | 11.16 03:54
|
|
|
|
|
|
|
외부제휴사 광고  |
|
|
 |
56,300원 → 53,000원
|
 |
72,500원 → 69,000원
|
 |
668,600원 → 334,000원
|
 |
186,300원 → 177,000원
|
 |
78,000원 → 74,000원
|
 |
121,700원 → 116,000원
|
 |
56,900원 → 54,000원
|
 |
75,500원 → 72,000원
|
 |
185,200원 → 176,000원
|
 |
93,700원 → 89,000원
|
 |
130,000원 → 65,000원
|
 |
218,200원 → 207,000원
|
 |
89,600원 → 85,000원
|
 |
36,300원 → 34,000원
|
 |
118,900원 → 113,000원
|
 |
117,600원 → 112,000원
|
 |
172,100원 → 163,000원
|
 |
49,700원 → 47,000원
|
 |
11,500원 → 11,000원
|
 |
82,800원 → 79,000원
|
 |
45,600원 → 43,000원
|
 |
36,300원 → 34,000원
|
 |
94,700원 → 90,000원
|
 |
118,900원 → 113,000원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