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루로우니 | 2007.02.20
|
|
|
|
|
protein 이 어떤 상태에 있었는지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된다 안된다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을 거 같네요
sample 이 만약 denaturation 상태로 있거나 acetone 등의 precipitation 과정을 거쳤다면 괜찬을 듯 싶은데요
하지만 protein 변성되는 경우는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는 경우가 제일 심각한 경우입니다.
계속 그 상태로 있엇다면 일반적인 실험하는데는 문제가 없을 듯 한데요 ^^
만약 sample 을 다시 구하기 어렵다면 한번 실험해 보심이 어떨른지요 |
|
|
|
juno | 2007.02.20
|
|
|
|
|
Sample이 lysate인지 lysis안된 세포인지 조직인지 모르지만 그 상태로 계속 있었다면 그리고 buffer내에 inhibitor들도 들어있고 했다면 western등에는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것 같네요.
단백질의 activity등을 보시겠다는 말씀이라면 좀 다르겠지요.
단백질의 precipitation은 일어날 수 있을것 같습니다. IP등이나 단백질의 solubility등에는 영향이 있을수 있겠다는 말씀입니다.
어찌 되었건 일단 실험을 실행해 보셔야 되겠죠. |
|
|
|
|
|
|
|
|
제 단백질 sample은 조직을 갈아서 protein lysate을 만든 거구요
조직을 갈때 proteinase inhibitor를 처리하기는 했습니다.
그런데 -70도에 보관을 못하고 -20도에 보관을 했는데요...
cell에 protein lysate을 처리하려고 하는데...
그냥 해보는 수 밖에 없을 까요?...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