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강시 | 2010.08.24
|
|
|
|
|
Well간 간격이 없는건 큰 문제는 아닙니다. 종종 그런 결과가 나옵니다. 시료를 로딩한 다음 run하기 전에 시간이 지체됬다던가, 로딩에 걸린 시간이 길다던가, 너무 천천히 run 했다던가 하는 경우, 단백이 gel을 통과하면서 디퓨전되기도 합니다. 그러면 well간 간격이 줄어듭니다. |
|
|
|
|
|
|
|
|
고수님은 쿤 문제가 아니라고 하셨지만 저에게는 아주 큰 문제입니다ㅠ,ㅠ 제 running조건은 말씀드리면 stacking 부분은 80v에서 30분, seperating 부분은 100v에서 1시간 running합니다.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예전 실험과 현재 실험에서 바뀐 조건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리고 sample이 많아서(모두 24개) well간에 loading 시간이 좀 길었긴 하지만.. 이전에 저와 같은 경험이 있는 분의 답변을 확인해 보니 loadng volume이 많아지면 그런 경우가 생긴다고 하시는데 저는 35ul를 loading하였습니다. 그래서 조언해주시는데로 loadng volume을 반으로 줄이고 running시간도 단축하려고 하는데 지금 저의 조건에서 얼마나 단축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을 달아주시면 그 조건대로 실험을 해 보겠습니다. 답변주실때까지 항시 대기중입니다.
|
|
|
|
jspark | 2010.08.25
|
|
|
|
|
24개 샘플이면 몇 wall에 35ul씩 로딩하시나요? mini-gel이 아닌가요? western결과가 잘나온다면 로딩 volume을 반으로 줄여도 충분할거같은데요. |
|
|
|
|
|
|
|
|
미니젤을 사용 중이고 western 결과는 잘 나오는 편입니다. 보통은 10well을 사용하지만 sample수가 많아서 15well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럼 고수님들의 의견대로 loading volume을 반으로 줄여서 오늘 다시 실험해 보겠습니다. 혹시 저와 같은 경험을 하신 분들을 위해 실험 결과도 update하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
|
|
jspark | 2010.08.25
|
|
|
|
|
기왕 하시는거 버퍼나 샘플들을 모두 새로 만들어서 해보세요.
|
|
|
|
ㅣSMㅣ | 2012.07.10
|
|
|
|
|
10well 은 간격이 비교적 넓은데 15well은 간격이 비교적 좁아서 그런결과가 나오기도합니다. 붙이신 antibody가 무엇인지는 잘모르겠지만 15well사용시 total vol을 조금 낮추시면 band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수있고 running하실때 70V정도로 천천히 running하시면 band가 예쁘게 내려옵니다. 그리고 develop하실때 오래있으면 발현량이 커져서 band가 합쳐지기 때문에 ECL을 희석하시던지 시간을 줄이시고, advance ECL을 사용하신다면 일반 ECL을 사용해서 잡아보세요. 그럼 결과가 이쁘게 나올것 같습니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