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
|
|
|
|
starch gel electrophoresis는 생각보다 상당히 어렵습니다.
제가 한 2년 동안 하면서 느낀것이지요....
우선 starch는 11-12%가 적당하구요....
starch를 녹이는 과정이 상당히 어려운데
우선 꼭지달린 삼각플라스크(?)에 gel buffer와 starch를 넣고 가스렌지같은 곳에서 흔들면서 잘 녹인다음 (한 7-8분) 투명한 상태가 되면 gel plate에 부어서 굳히세요...
한 30분정도 굳힌다음 냉장고에서 30분정도 굳히면 gel이 완성됩니다.....
답변이 잘 되었나 모르겠군요
더 필요하시면 메일로 연락주세요.....
항상 행복한 하루 되십시요.. |
|
|
|
|
|
|
|
|
전 석사 1년차때 조금 해보긴 했는데..
우선 무슨 효소를 보려는 목적에 따라 gel 만드는데 들어가는 buffer가 다릅니다.
대부분 starch gel의 %는 잘 기억이 안나고요..
buffer와 섞은후 boiling한뒤 gel을 굳힙니다.
이때 거품이 안나도록 잘 굳혀야 되구요 이 겔은 일반적으로 뚜껑을 덮어서 어느정도 식으면 사용전까지 냉장고에 보관하셔야 합니다.
gel running시에는 cold chamber같은 곳에서 해야 하구요.
자세한 실험 목적을 몰라서 이렇게 대충 적었는데요.
도움이 될까 모르겠습니다. |
|
|
|
|
|
|
|
|
직접 해 본것은 아니지만 할려고 했다가 시간이 없어서 못했었는데요, 일단 PAGE gel에서 amylase band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polyacrylamide gel을 굳힐때 starch stock으로 만든것을 정확히 몇 %인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한 0.5 - 2 %정도로 넣습니다. 그리고 같이 굳힌다음에 running을 시키는데 이때 온도를 아주 낮은 상태(냉장고에서 ice bath안에서 정도...)에서 running을 해야 합니다. amylase가 running도중에 activity를 띄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나중에 band를 구별할 수 없습니다. 다른 방법은 running을 하고나서 agarose gel에 starch를 넣은것과 서로 맞붙여서 반응시키고 나중에 agarose gel에서 요오드 반응을 하여 위치를 알아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band 를 sharp하게 얻기 위해서는 protein의 농도가 높은게 좋겠죠...^^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