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Immunology > Immunofluorescence |
|
 |
|
|
 |
counting에 관하여.. |
|
|
|
답변있는 질문은 수정/삭제 불가(☞문의) |
안녕하세요. bric 회원 여러분..
현미경에 의한 counting은 일반적으로 어떻게 data화 할 수 있는 것인지요?
만약 publish를 할 때, 그 신뢰성을 확보하려면 어떻게 data를 준비해야
하는 지 알고 싶습니다.
특히 사람이 직접 counting을 할 때, 오차라든 지... 그 신뢰성을 확인하기 곤란한
경우의 실험에서 design을 어떻게 해야 할 지.. 경험이 있으신 분의 조언 부탁 드립니다.
참고로 저는 virus를 counting해야 하는 데,
형광 현미경 상에서.. nucleic acid stain을 이용하려 합니다.
결과를 다 사진으로 찍어 두어야 하는 지.. 아니면.. 그냥 counting 결과만 수치화해서
data로 만들 수 있는 건 지.. 궁금해서요.
가을 날씨가 되었습니다.
진행중인 실험에서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
|
|
|
|
|
|
|
|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
|
|
|
|
제가 알기로는
제일 편한 방법이 사진을찍어서 부위면 부위 이렇게 정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 즉 옆방 실험실 사람들을 불러서
크기가 이정도면 +++ 작으면+ 이렇게 해서 적으라고 하면되는걸로 아는데요
이것도 아니면 기계가 되는곳에 가서 특정 잘나온 것의 색을 지정하면
그 색과 유사한 색이 카운터가 이루어지는 것이 있는걸로 아는데요
샘플과 사진은 5장이상은 되어야 하지 않나요
|
|
|
|
|
|
|
|
|
나다.. 누구냐고 묻지마라..
사진 찍어두면 좋겠지..
그리고 그 이미지가 있으면 간단한 shareware program으로
counting 할 수 있단다. 사람이 하는 거 보다는 낫겠지..
증거도 남고..
그럼 20000 |
|
|
|
|
|
|
|
|
|
|
|
|
|
 |
|
 |
 SPEED
 강시
 실험조아
 enen
 나는야학부생
 Choip
 친절하게살자
 새슬
|
|
|
 착한사람
 TX
 개그
 Eigen
 Jake
 cslee
 Daegu*
 절대교주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