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Molecular Biology-DNA > PCR/RT-PCR/Q-PCR |
|
 |
|
|
 |
Restriction enzyme 처리시...(너무 뒤로 밀려 다시 올립니다. 한스님~부탁드립니다) |
|
|
|
답변있는 질문은 수정/삭제 불가(☞문의) |
|
저는 RFLP를 처음 해 보는건데요....
어디 도움이 될 만한 책이 없을까요..??
있으시다면... 추천 좀 해 주세요. 분자생물학... 을 찾아보니.. 그냥 원리와 예 하나만 떨렁 나와 있어서... 실험을 하는데는 턱 없이 부족함을 느낍니다. 어디 물어 볼 사람도 없고...T.T
gDNA에 대한 PCR 산물을 가지고 restriction enzyme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 purification 단계를 거치게 되니까(예전에는 잘 몰라서 그냥 PCR 산물을 가지고 enzyme 처리를 했었습니다) band가 너무 흐려서 DNA양이 많이 손실 되는게 아닌가 싶어 PCR을 20ul로 2판 하여 purification 단계를 거친 후 restriction enzyme을 처리하고 있습니다.(그래도 여전히 band가 흐리긴 하더라구요...T.T)
& 제가 쓰는 enzyme은 boineer 것인데... 10X buffer가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10X buffer 2ul + PCR product 15ul + D.W 2ul + enzyme 1ul(10U)로 4시간 반응을 하고 있는데요...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인지를 모르겠습니다.
& 저희는 다른사람의 논문을 보고(논문 첨부했습니다)... 저희도 적용이 가능할까..하여 시작해 본건데(병증은 다르지만...그 primer의 바탕이 된 호르몬 sequence가 저희 병증에도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이라 생각하여 저희 것에서도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하여...), 처음엔 그 primer로 PCR 결과도 아주 잘 나왔었습니다.
근데...PCR 기계가 고장(Applied Biosystem사 제품)이 나서 MJ PCR machine으로 실험을 시작했는데...
같은 조건에 같은 primer로 실험을 하는데도 product band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PCR 회사 사람들 말에 의하면... 회사마다 온도 control 방식이 틀려서 그렇다고 하던데요...)
그래서 여~~러 회사의 premix(저희 실험실에서는 먼저 실험하시던 분들도 모두 premix를 사용했던데다가...sample 양이 많아 premix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를 가지고 여러 조건으로 실험을 하여 수개월만에 band가 뜨기는 했으나....
약간 조건이 맞지 않는지 또~렷한~!! 결과를 볼 수는 없고... 약간(살짝) 아래쪽으로 끌리는 것도 있고, band가 약간 흐린 것도 있습니다.
그것을 가지고 처음에는 RFLP를 잘 몰라서 purification 단계를 거치지 않고 restriction enzyme을 처리(그것도 그 논문에 나왔었던 효소들입니다) 했었는데요...
나중에 정제를 해야한다는 것을 알고 PCR 3~4판 정도를(= 20ul*3~4 & 위에서 말씀 드렸던바와 같이 band가 정제와 효소 처리 후에 더 흐려지는 것 같아서요..)정제해서 restriction enzyme(10U)을 처리했습니다.
지금 결과를 보면... 잘리는 것도 있고, 잘리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
PCR product size는 1.3kb이고 PvuII 처리한 것은 850과 450bp로 & XbaI으로 처리한 것은 900bp, 400bp로 잘린다고 논문에 나와 있던데,
제 결과는..... PvuII의 경우
1) 1.3kb
2) 1.3kb, 850bp, 450bp
3) 850bp, 450bp
4) 1.3kb, 850b (아래 band가 잘 안 보인 것이 아닐까요..?? ^^;)
의 경우가 나오며,
XbaI의 경우도 잘린 size만 틀리고 이런 양상으로 나옵니다.
과연 이게 제대로 되고 있는건지 답답하기만 합니다.
바쁘시겠지만....한 번 살펴 봐 주시고...
혹시 제가 실수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
|
|
|
|
|
|
|
|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크림슨 | 2006.08.04
|
|
|
|
|
저는 한스님이 아닙니다만, PCR 기계가 문제를 일으켜서 손보셨다면, 다른 기계를 한번 써보십시요. Thermal cycler가 그냥 온도만 오르고 내리는 단순한 기계같지만, 그 콘트롤의 정밀도와 방식에 따라서 PCR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효소반응의 경우는 넘치고도 남는 정도의 처리조건으로 보입니다. 하나만 더 말씀드리면 20uL씩 3-4판씩 PCR을 하실거면 차라리 그냥 50uL reaction을 한번만 하는 쪽을 한번 생각해보십시요.
그리고 전에 젤 사진도 올리셨었는지 궁금한데, 제한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PCR 산물의 경우는 1.3kb 밴드만 깨끗하게 나오고 있지요? |
|
|
|
juno | 2006.08.04
|
|
|
|
|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RFLP를 보신다면 PvuII digestion에서
1) 1.3kB가 나오는 경우는 PvuII 에 의해서 cleavage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일테고 (첨부하신 논문에 따르면 PP 이겠지요.)
2) 1.3kb, 850bp, 450bp가 나온다면 (partial digestion이 아니라는 가정하에) 한쪽 allele만 cleavage site가 있을거라고 볼 수 있으므로 Pp 일테고
3) 850bp, 450bp가 나온다면 두 allele이 다 cleavage site가 있는것이니 pp가 되겠군요.
4)의 경우는 말씀처럼 작은 size가 잘 안보이는 경우일 수 있을것 같네요.
PCR이 잘 안되는 점은 condition을 잡아 개선이 될 경우 더 쉽게 실험이 진행되실 것 같습니다만 product가 그렇게 나오는 것은 polymorphism을 잘 보여주는 결과 아니겠습니까?
|
|
|
|
|
|
|
|
|
이 위에도 질문을 올리셨네요.. 괜히 저 밑에가서 답변을 올렸나보네요.
Juno님 말씀대로 RFLP에의한 genotype 결정시
2가지 효소 처리시 총 8가지 경우의 genotype이 생깁니다.
Pvu2 / Xba1 모두 안잘림 --> 2개의 효소처리해도 각각 1.3kb 밴드보임--> PPXX
Pvu2 / Xba1 둘다 잘림 --> 각 효소처리시 0.85/0.45 와 0.9/0.4 보임 --> ppxx
Pvu2만 잘림 --> Xba처리시 1.3보이고 Pvu처리시 0.85/0.45보임 --> ppXX
Xba1만 잘림 --> Xba처리시 0.9/0.4보이고 Pvu처리시 1.35보임 --> PPxx
hetero allele일 경우
Pvu2처리 1.3 / 0.85 / 0.45 보이는 경우 Pp type
Xba1처리 1.3 / 0.9 / 0.4 보이는 경우 Xx type
밴드 사이즈는 SB를 이용한 전기영동(1.5% agarose gel)에서 확실하게 구분될 수 있는 밴드크기입니다. 별 어려움없이 구분가능하다는 얘기이죠.
아래에서도 말씀드렸듯이 PCR 조건을 잘 맞추셔야 많은 양의 amplicon을 얻을 수 있으며 그래야 밴드도 정확히 보입니다. 그래도 PCR이 잘 안된다면 그냥 EtOH 침전으로 농축하는 방법이 있지만, 아무리 그래도 추천하는 방법은 PCR 조건을 다시 잡는 것밖에 없습니다. |
|
|
|
|
|
|
|
|
답변 주신 크림슨, juno, 한스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T.T
이렇게 멀리서나마 도와주시는 분들이 계시다고 생각하니 힘이 납니다. ^^
근데... 제 실험에서는 restriction enzyme인 PvuII와 XbaI을 각각 처리하고 있습니다.
Double digestion이 아닌.... 같은 sample을 2개 가지고... 각각의 enzyme으로 처리 중인데요.... 이럴 경우는 juno님이 말씀하신 cleavage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 PP, Pp, pp의 네 가지 경우가 나타나게 된다는 말씀이시지요...??
PCR 조건이 꽤 오랜 시간 동안 해 왔음에도... 또렷한 band를 얻을 수 없었지만(약간 끌리거나 band가 또~렷하지 않습니다)....
band가 나오기에 급한 마음에 그 products를 가지고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여러 도움 주신 분들의 말씀을 종합해 보면...
우선 PCR 조건을 다시 잡고 난 후.. 제가 해 오던 방법대로 enzyme을 처리하면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말씀 맞는지요... ^^;;;
그동안
1) Premix(저희 실헌 여건상 premix를 사용할 수 밖에 없거든요..)제조사별로,
2) Gradient
3) PCR machine의 온도 control 방식(Block방식, caculate방식)
4) Template DNA와 primer농도 조절
5) GC contents가 높을 수도 있다기에 (human DNA의 경우 높다고 하더군요)
GC contents를 낮추는 시약 첨가...
을 바꾸어 가며 모든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에고~~이젠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또렷한 PCR band를 얻을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T.T
또 확인해 보아야 할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요..??
|
|
|
|
|
|
|
|
|
계속 답글을 이어서 남길 경우 제일 처음 원글만 보이기 때문에 바로 이전 질문내용이 안보여서 참 불편하네요. 이건 게시판 관리자님께 건의를 해야겠네요.
말씀하신대로 homo일 경우에는 혼합된 pattern이 보이지 않지만 allelomorphic character를 가진경우에는 혼합된 pattern이 보이게 됩니다. 우선 RFLP를 보시기 전에 충분한 PCR 산물을 얻은 후에 RFLP를 해보십시오.
제가 볼 땐 DNA의 purity가 떨어지거나 DNA양을 너무 많이 사용해서 PCR이 잘 안되는 것 같습니다. DNA를 어떻게 준비하셨는지 모르겠지만 (그리고 DNA양이 얼마나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template DNA를 1/10 희석해서 PCR을 해보세요.
그리고 이메일 연락이 더 쉬울 것 같네요. aod님의 연락처를 남기시면 연락드리죠. |
|
|
|
|
|
|
|
|
이메일 드렸습니다. 한메일의 경우 스팸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
|
|
|
|
|
|
|
|
|
|
|
 |
|
 |
 강시
 실험조아
 SPEED
 enen
 나는야학부생
 Choip
 친절하게살자
 새슬
|
|
|
 강시
 juno
 Kozmoj
 TX
 bio
 강시
 애니
 Daegu*
|
|
|
|
|
|